최병국 고문헌연구소 경고재 대표·언론인
최병국 고문헌연구소 경고재 대표·언론인

28일부터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총선을 13일 앞둔 현재 여권에 비상이 걸렸다. 총선의 캐스팅보트인 수도권과 중도층을 비롯해 믿었던 부·울·경의 민심까지 요동을 치면서 그간 야권에 불리해 보였던 총선 민심이 민주당 쪽으로 기울고 있어 여권의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2주 사이 피의자로 수사를 받고 있는 이종섭 전 국방장관의 호주대사 임명과 출국에 따른 논란이 민심에 기름을 부었고 황상무 수석비서관의 ‘언론인 회칼테러’ 발언이 화난 민심에 불을 질렀다. 여기다 비례대표 공천을 둘러싸고 윤 대통령과 한동훈 비대위원장 간의 갈등과 대통령실 민생특별보좌관 임명 등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부동층인 중도층마저 야권으로 돌아 앉게 만들었다. 이 영향으로 여권과 윤 대통령 지지율이 30%대 초반으로 떨어지자 이번 선거가 21대 총선의 재판(再版)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여론기관의 이번 주 양당 확보 예상 의석수 조사를 종합하면 서울(총 48석) 국민의힘 13-18석, 민주당 30-35석, 경기(60석) 국민의힘 8-13석, 민주가 47-52석, 인천(14석) 국민의힘 4석, 민주 10석으로 분석됐다. 수도권 예상확보 의석수는 국민의힘이 25-35석, 민주당이 87-97석이다. 전국 나머지 지역을 모두 합하면 민주당이 124-150석, 국민의힘이 104-130석이 된다. 여기에 예상 비례의석은 국민의힘 20석, 민주 13석, 조국혁신당 11석, 개혁신당 2석 정도를 얻는 것으로 집계돼 전체 국회의석 예상 확보 숫자는 민주당이 137-164석, 국민의힘 124-150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럴 경우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과반의석을 차지할 확률이 높아져 보인다.

지난해 말 한동훈 비대위 출범으로 ‘윤석열 대 이재명’의 총선 구도가 ‘한동훈 대 이재명’으로 전환되면서 민주당이 줄기차게 제기해온 ‘정권심판론’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했다. 하지만 ‘이·황 사건’이 터지면서 야권이 윤 대통령을 재소환하면서 여권이 우려했던 ‘수도권 위기론’의 최대 아킬레스건인 ‘정권심판론’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려졌고 여권의 운동장도 기울어졌다. 지난 10일 이 대사 ‘출국 논란’이 불거지기 전 국민의힘 지지율은 45%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황사태’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자 국민의힘 지지율은 30%로 급락했고 중도층도 32%에서 24%로 떨어져 나갔다. 그런데 이 정권은 우직스럽게도 민심을 거스르다 자멸하기가 한두 번이 아니다. 국민들을 화나게 하는 데는 이력이 붙었다. 대통령의 선거공감 능력이 없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대표적 사례가 총선 정국을 뒤바꾼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건이다. 왜 하필 이 시점에 그를 호주 대사로 보냈는지 보수지지층은 이해를 못하고 있다. 대통령실 해명이 더 가관이다. “국방과 방산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해명에 중도층마저 ‘어이가 없다’는 등 야권으로 돌아서 버렸다. 여기다 윤 대통령이 최근 공천 문제로 논란이 된 ‘20년 지기 주기환’의 대통령실 민생특별보좌관 임명건도 화난 여론에 불을 더 질렀다. 국가 최고기관인 대통령실에서 부자(父子)가 함께 근무를 하는 사례는 극히 이례적이다. 여하튼 여권이 총선 위기에서 빠져 나올 수 있는 마지막 출구는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여당 속 야당’ 역할을 빨리 선언하고 ‘대통령 아바타’라는 이미지를 벗어야 한다. 윤 대통령도 결자해지 입장에서 ‘대국민 소회(所懷) 기자회견’을 열어 성난 민심을 가라앉혀야 한다. 대통령은 소회에서 그동안 미숙했던 점에 대해선 “부족했다” “잘못했다”고 솔직히 사과를 하면 돌아앉은 국민들의 감정도 가라앉지 않겠는가 생각된다. 민심을 돌리는 데는 첫째도 둘째도 대통령과 국민과의 원활한 소통이다. 국민과의 소통은 윤 대통령 앞에 떨어진 절체절명의 기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