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중견 규모 업체일수록 금융수요 커…“현장방문·애로청취 강화해야”
지원책 활용률 낮아 홍보 필요…“민생 회복으로 이어질 실질 정책 기대”
대구 소기업·소상공인들이 차기 대구시장에게 바라는 정책 분야로 ‘금융지원’이 꼽혔다. 민생청취를 통한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과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지원책 마련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지역본부가 지난달 15일부터 25일까지 지역 내 소기업과 소상공인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차기 대구시장에게 바라는 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에서 가장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로 ‘금융지원 정책 확대’(50.3%)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어 ‘상권 활성화 및 인프라 개선’(25.3%)과 ‘판로 개척 및 마케팅 지원’(12.3%) 순으로 조사됐다.
또 금융지원 정책 확대를 바라는 비율이 높은 업종은 ‘제조업’(72.9%)이었고, 상시근로자가 ‘10명 이상’(77.8%)인 업체에서도 금융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30억 원 초과’(52.4%)에서 금융지원 정책의 확대를 바라는 등 기업 규모가 클 수록 금융지원 정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대구시장의 모습(중복응답)으로는 ‘경제 일자리형 시장’(54.7%) 응답률이 과반을 차지했다. 이어 ‘현장 중심형 시장’(43.3%), ‘안정 지원형 시장’(31.7%) 순으로 확인됐다.
반면, ‘혁신 미래형 시장’(11.3%)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응답률을 드러냈다.
대구시가 의견 수렴을 위해 강화해야 하는 소통방식으로는 ‘개별기업 현장방문 및 애로 청취확대’(40.7%)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중소기업중앙회 등 관계단체와의 협력강화’(38.0%)와 ‘정기적인 현장 간담회 및 설명회’(26.7%)도 거론됐다.
대구시가 지역 소기업·소상공인 지원책을 홍보하는 활동의 필요성도 언급된다.
지원책을 활용하지 않은 소기업·소상공인 응답률이 64.3%를 기록했는데, 응답 기업 가운데 절반 가량(49.7%)이 지원책을 ‘잘 모른다’라고 밝혔다.
성태근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은 “대구 소기업·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계속되는 만큼, 민생현장을 주기적으로 찾아 소통하고 실질적인 경기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중소기업계도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힘을 모을 예정”이라며 “차기 대구시장과의 현장 소통이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전년도 대비 경영상황이 ‘악화’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65.3%로 집계됐다.
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복수응답)은 ‘경기침체 및 매출감소’(73.7%)이 우선으로 꼽혔고, ‘자금조달 어려움’(19.0%)과 ‘상권 침체 및 유동인구 감소’(18.3%)가 뒤를 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