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특한 지역 문화를 유지하면서, 쇠퇴한 도시의 모습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이 주목받고 있다.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을 비롯해 중국 북경 798거리, 인천아트플랫폼, 부산 홍티아트센터와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등 국내외 곳곳에서 삭막한 공간에 문화를 덧입혀 도시재생을 꾀했다. 회색빛 산업공간에서 형형색색 문화공간으로 지역 활성화 뿐 아니라 기존 주민의 삶과 질을 높인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획특집 취재 중 만난 전문가들은 “무조건적인 공간 마련이 아닌, 안정적인 전문인력 운영과 세분화·전문화된 시스템을 ...
지난 23일, 인천아트플랫폼 올해 입주작가들의 작업실이 개방됐다. 25일까지 3일간 이어진 ‘2016 인천아트플랫폼 오픈스튜디오’다. ‘오픈스튜디오’는 올해 3월부터 인천아트플랫폼에 머물며 작업을 진행해온 작가들이 일반시민과 예술계 관계자들을 작업실로 초대하는 자리. 작가와 작품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였다. 이날 오픈스튜디오를 통해 공개된 21개 스튜디오에는 관람객과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펼쳐졌다. 특히 지난 23일 오후 6시 30분 C동 공연장에서 열린 오프닝이 관람객들의 호응을 받았다. 김성배 트리오의 공연을...
발음하기도 힘든 ‘또따또가’는 어떤 의미일까. 김희진 또따또가 운영지원센터장은 “관용과 배려, 문화적 다양성을 뜻하는 프랑스어 ‘똘레랑스(Tolerance)’에서 ‘또’를, 예술가와 시민들이 각자 ‘따’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지만 ‘또’ 같이 모여 문화를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따또’를 가져왔다. 여기에 거리 뜻하는 한자 ‘가’(街)를 붙인 합성어다”고 설명했다. 또따또가는 2010년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 주도로 부산시가 3억5천만원의 예산을 지원해 시작됐다. 사업초기 35곳으로 출발한 또따또가의 창작공간은 현재 2배이상 증가하며...
부산 지역 유휴공간에 마련된 창작공간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예술로 마을재생을 꾀한 것이다. 부산문화재단은 ‘홍티아트센터’,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감만창의문화촌’ 등을 통해 예술가들에게 안정적인 창작공간과 여건을 제공하고, 인근 공단 근로자·지역주민에게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 및 체험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를 찾는 관광객들은 ‘지도 한 장 들고 보물찾기’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중구 중앙동 40계단 일대 골목 구석구석 흩어져 있는 80여곳 창작공간, 200여명 ...
올해 10주년을 맞은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하 딤프)’은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최초의 뮤지컬 전문 페스티벌이다. 딤프 개최 기간 5만여 명 이상 외부인원이 지역에 체류하는 등 지역대표 문화산업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최근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국외 및 타 지역 방문객 비율이 14.9%에서 35.2%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누적 참여객수 공 연 장 전체공연 59만2천588명 공식/ 부대행사 전 야 제 18만4천명 개 막 식 1만5천800명 부대행사 59만9천750명 DIMF어워즈 1만6천8...
"예술을 향유하고 연습하는 아주 개인적이 장소다." 후조 유타카 가나자와시민예술촌장이 말하는 시민예술촌의 설명했다. 이하 일문일답. △ 가나자와시민예술촌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 1919년경부터 운영돼 온 약 10만평 규모(도교돔의 약 2배) 섬유공장을 1993년 폐쇄하면서 가나자와시가 이곳의 토지개발공사를 취득했다. 공장 지역을 모두 허물면서 마지막으로 창고가 남았을 때, 당시 가나자와 시장님이 시찰을 와서 이 공간을 가나자와적인 장소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가나자와 시민단체가 모여 의논한 결과 ‘시민예술촌’을 만들기로 하고 ...
최근들어 지역 고유 문화자원이 도시재생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경제 논리하에 사라져 가던 지역 고유 문화가 오히려 도시경제를 일으키는 창조적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경북일보 창간 26주년을 맞아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지역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을 모색한다.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을 비롯해 중국 북경 798거리,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부산 지역문화예술 기획지원사업, 인천아트플랫폼 등을 살펴본다. 일본 가나자와시의 문화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 전략은 도시계획, 문화정책, 산업정책을 통합해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이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