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컬인재 키우자"
다문화는 시대·가정 형태를 인정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포용할 때
저출산·소멸 극복의 길 열려
다문화 가정은 이제 시대적·국가적 대세이지만 우리 사회의 포용력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조화로운 다문화사회에서의 상생을 위해서는 상호교류와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은 물론, 건강하고 조화로운 우리 사회를 이루는 데 조력해야 한다. 결국 저출산과 지역소멸을 극복을 위해서는 이제부터라도 모든 아기를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토양을 만드는 기초를 닦아야 한다.
경북일보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글로벌 시대 ‘다문화 가족’의 삶’ 기획 시리즈를 준비했다.
글 싣는 순서
△사회통합의 ‘미래 인재 보고’
△ 글로벌 시대 ‘가정의 큰 축’
△ 가족정책 새 모델 ‘행복프라자’
△ ‘소통의 끈’ 건강가정지원센터
△ 문화 브릿지 ‘민간 외교관’
한덕수 국무총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습과 진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지난달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21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 모두발언에서 “다문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고 초기 결혼이민자의 연령대도 20∼30대에서 중·장년층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기본계획과 관련, “학령기 아동에게 230개 가족센터와 527개 한국어학급을 통한 한국어교육을 강화하고 중고생에게 진로 컨설팅, 대학생 멘토링, 직업훈련 서비스 등 진로지도를 강화하겠다”고 소개했다. 그는 “결혼이민이 본격화한 2000년대 이후 국내 다문화가족이 지속 증가해 현재 112만명에 이르렀다”며 그동안 변화한 여건을 고려해 다문화가족정책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혼이민자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초기 적응 시에는 통·번역, 다국어 상담, 한국어교육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장기 안착한 가족은 가족관계 증진, 생활안전, 노년 준비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발맞춰 경북도도 올해 다문화 정책 방향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으로 정해 기존 한글교육 중심의 정착 지원사업에서 지역 인재 육성사업으로 사업을 다양화하고 있다.
경북지역의 다문화 가구는 1만8058세대 5만7102명으로 전국대비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는 1만7432명으로 이 중 40%인 6957명이 초등학생이다. 국가별로는 베트남, 중국, 필리핀 순이다.
지난 2006년 다문화 정책이 처음 실시될 당시 높은 증가율을 보이던 다문화가족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연 3% 초반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이는 등 다문화 정책의 대외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언어 능력과 글로벌 환경을 활용해 전문 경영인으로 육성하고자 전국 최초로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을 추진했다.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은 도내 우수한 이주여성을 모집해 회계, 무역, 통역 등 전문교육을 연간 243시간 4년에 걸쳐 교육해 전문 경영인으로 양성시키는 사업으로 지난해 제1기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거뒀다.
베트남 출신인 칠곡의 황수빈씨는 신한무역대표로 식품·화장품 등을 베트남에 수출해 창업 1년 만에 매출 8억원을 달성했다.
중국 출신인 포항의 전태옥씨는 결혼이민여성 6명과 ‘글로벌 레이디 협동조합’을 설립해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지역 농특산물을 팔아 농민과 다문화 가정을 도와주는 등 경북에서 지금까지 받은 도움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한국과 모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경북도는 또 다문화 자녀를 미래 대한민국 경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이중언어대회, 자녀학습지원, 글로벌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는 다문화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며 진학 및 진로 결정에 중요한 자산인 이중언어 활용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로 10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경북도가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
다문화 자녀가 가장 어려워하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해 학년별 학습 영상콘텐츠를 제작·배포하고 지역대학생을 멘토로 1대 1 매칭해 맞춤형 학습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미래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역 인구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다문화가족이 지역주민과 융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고 장기 정착지원과 결혼이민자 사회참여 확대, 다문화 자녀의 안정적 성장지원 등을 추진함으로써 건강한 다문화가족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국제결혼이 급속히 증가한 후 안정화되고 있는 시점에 결혼이민여성이 양국의 문화와 언어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인으로 자립하면서 초기 외국인주민 정착을 위한 브릿지 역할을 할 것”이라며 “다문화 자녀들을 위해 민·관·학·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미래 인재를 육성해 다문화 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