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과속 유발 구조 비판…“초심야 배송 제한 등 사회적 합의 시급”
노동계 “건강·휴식권 보장해야”…정부·국회에 지속가능한 산업 질서 마련 요구
‘새벽 배송’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대구에서도 택배 노동자의 과로를 방지하는 사회적 합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와 전국택배노동조합 대구경북지부 등은 17일 오전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의 택배업 진출로 촉발된 새벽 배송은 택배사 간의 무한한 속도 경쟁을 불러왔다”라며 “이로 인해 택배 노동자들을 과로사로 내몰리고 택배사들은 이윤을 얻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소비자의 편의와 산업 발전이라는 이름 뒤에 가려진 생명의 희생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라며 “이윤을 위해 속도를 강요하고 노동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새벽 배송의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9월 정부와 여당, 택배사, 노동자 등이 참여하는 3차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출범을 언급하며 택배 노동자들의 건강권과 휴식권 보장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번 사회적 대화를 통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새벽 배송 방안, 배송 속도 경쟁 속 택배 노동자들의 건강권이 보호될 수 있는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속 가능한 산업 질서가 확립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에 앞장설 것을 요구했다.
한편, 새벽 배송을 하는 택배 기사들의 과로사 문제가 지속되자 여당과 노동계 등이 참여한 사회적 합의에서 새벽 배송 제한 논의가 나오고 있다.
노동계는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초심야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물류업계와 일부 택배 노동자, 소비자들은 해당 입장에 반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