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오지 오명 벗고 소외된 사람 없이 함께 누리는 영양 건설"
오도창 영양군수는 연초부터 불어 닥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전 행정력을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선제적 방역에 최선을 다하면서 지역 인구감소 문제 적극 대응, 영양만의 특색있는 자원 발굴 등의 2020년도 군정 운영 방향으로 설정하고 목표를 위해 차근차근 한 발걸음씩 준비하고 있다.
특히 31번 국도 확장과 영양 수비면 죽파리 자작나무 숲 관광 자원화 추진, 노후하수관 교체 사업 등을 통해 지역경제가 살아나 신바람 나는 영양, 사람들이 찾아오는 매력 있는 영양, 소외된 사람 없이 다 함께 잘 사는 영양, 배려와 인정이 넘치는 따뜻한 영양을 만들 수 있도록 청사진을 제시했다.
영양군은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4차선 도로가 없는 곳’이자, 정부가 목표하는 ‘30분 내 고속도로 진입 가능 구역 미포함 지역’이고 ‘철도가 없는 곳’으로 교통수단 어느 하나도 갖추지 못한 최악의 교통 소외지역이다.
특히 안동-영양도로 60.7㎞ 구간 중에 추월 차선이 4개소밖에 없어 도로 여건상 영양군민은 잠재적 교통법규 사각지대에 놓인 실정이다
지난 2016년 1월 26일 2009년부터 8년간 2조75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자된 상주-영덕 간 고속도로(연장 107.6km)가 개통됐다.
상주-영덕 간 고속도로 개통으로 의성, 안동, 청송, 영덕, 울진은 관광객과 유동인구 증가로 고속도로 개통 특수를 톡톡히 누리고 있지만, 육지 속의 교통섬이 된 영양군은 대체 접속 도로 미개설과 소재지와 IC를 잇는 국도 31호선이 2차선이어서 영양에서 가장 가까운 동청송·영양 IC 진입에 30분이 소요되어 그 기능을 다 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교통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불균형 된 지역 개발에 지난해에는 영양군민들 스스로 국도 31호선 일부 구간의 4차선 확장을 요구하는 위원회가 만들어졌으며, 군민 서명운동까지 나섰다.
군민들의 염원을 담아 영양군은 ‘상주-영덕 간 고속 도로’개통 혜택을 조금이나마 누리고, 교통인프라 확충과 교통복지 향상을 위해 31번 국도 4차로 확장공사 (진보면 월전리~영양읍 서부리, 2300억 원, 총연장 16km)를 예산 확보를 위해 오도창 군수가 대통령에게 현안을 설명하는 서한문을 보냈으며, 정부와 정치권 설득 등 발 벗고 나서고 있다.
31번 국도 4차선 확장은 고속도로 접근성 용이로 농산물 적기반출을 통한 주민소득 증대와 인근 지역 간의 접근성을 높여 주민의 삶의 질 향상 기여와 제2차 도로정비 기본계획에 맞춰 고속도로 접근시간 30분 내 진입목표에 부응, 4차로 확보가 꿈인 영양군민의 숙원사업으로 꼽힌다.
영양군은 전체면적의 86%가 산림으로 특히 수비 지역에 본신 금강송, 죽파 자작나무숲 등 잠재되어있는 산림자원이 풍부하며, 우수한 산림자원을 활용한 생태적·경제적·사회적 부가가치 창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영양군은 우선 1993년도에 면적 108ha, 평균수령 30년생, 평균수고 20m로 자란 자작나무 숲 중 30년 이상 집단화 지역 개발 가능지 면적 30ha를 올해 우선적으로 개발에 나선다.
또 경북도 주관으로 7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죽파리 자작나무숲 권역 산림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을 끝내고 올해 산림청 산촌거점권역 시범 공모사업 신청했으며, 생태경관이 매우 우수해 이미 지난해 영덕국유림관리소에서 지역특화사업으로 자작나무 숲길 2km를 설치해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영양군도 이에 발맞춰 자작나무 명품 치유의 숲 개발 90억 원, 진입로개선, 주차장 등 60억 원, 휴양, 숙박시설 등 30억 원, 자작나무를 이용한 상품개발 등 60억 원, 수액, 목공예, 사우나 용품개발 등 명품임산물자원화사업 60억 원 등 30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전국 최고의 생태 자연 숲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 기반은 행복 삶터의 첫째 요건으로 영양군은 지금까지 수년간 준비한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농촌 공동체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새뜰마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30% 이상 에너지 절감이 기대되는 LPG 배관망 사업은 올해 면 단위·마을 단위까지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또한, 단계적 확대로 에너지 복지의 균형을 맞추어 가겠다는 방침이다.
영양군민들의 주요 생산 산업인 농업을 지키기 위해 지난 1월 1998년 문 닫은 농산물품질관리원 영양분소 개소했으며, 영양 고추의 안정적 가격 보장으로 생산 농가의 소득 보장을 위해 영양 고추의 유통공사 수매량을 늘려 가격 폭락 등 농가가 가장 어려울 때 최저가격 지지를 통해 우리 군민들에게 행정에 대한 신뢰를 높인다.
농작물 재해보험 자부담률을 10%까지 낮추고 각종 농업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해 가격은 높이고, 경영 부담은 낮추는 소득 우위 정책으로 부자 영양을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