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에산 분석해 보니 - 울진군
울진군은 민선 6기가 시작된 2014년 3차 추가경정 예산과 올해 2차 추경예산을 비교하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2회 추경예산은 5676억원으로 2014년 민선 6기 출범 당시와 비교하면 575억원이 늘어 11%가량 증가했다.
울진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받는 특별회계에 따라 전체 예산의 증감액이 크게 변동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실제 지난 2014년 신한울원전 1, 2호기와 관련된 8개 대안 사업 타결로 280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세입 됐다.
이 예산은 2016년부터 차츰 울진군으로 세입 돼 집행됐으며, 이로 인해 2017년 한때 3차 추경 예산이 7800억원을 넘기기도 했다.
울진군은 신한울원전 1, 2호기 가동 지연과 3, 4호기 공사가 5년 가까이 미뤄지면서 전년도 발전량을 기준으로 부과되는 일명 발전세(원자력발전지역 자원시설세)감소로 예산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정부의 탈원전 방침이 지속되면서 울진군은 ‘원전의존형 경제 탈피’라는 선포식까지 하고 새로운 국비 사업 확보에 팔을 걷어붙였다.
2019년 석호항(96억원)을 시작으로 2020년 울진·기성항(167억원), 2021년 직산항(84억원) 등 어촌 뉴딜 사업에 3년 연속 선정되며 해양중심 도시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 밖에 국비 170억원을 포함해 총 34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울진해양치유센터 건립 계획도 부지 선정과 설계, 도시계획 변경 등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수소 산업 선점을 위해 지난 6월, 포스코·현대ENG·경북도·한국원자력연구원·포스텍·리스트와 함께 원자력을 활용한 그린 수소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원자력의 전기와 열을 이용해 수소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 개발이 목표며, 만약 성사될 경우 대규모 수소단지 건설 등 울진지역에 획기적인 경제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전찬걸 군수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반영을 비롯해 태풍 미탁 등의 자연재해로 지난 몇 해간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서 “과거의 경험을 교훈 삼아 밝은 미래를 향해 달려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