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연계 동해안권 발전방안
고속철도망 조기 건설해 공항경제권 경쟁력 확보
환동해 경제 선도 '스마트 해양신도시' 조성 필요
군위군 소보면과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하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은 경북·대구지역 역사 이래 최대 사업이다. 공항도시와 공항복합도시, 배후도시 등을 갖추는 군위·의성을 비롯해 구미·상주·경북도청 신도시가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히지만, 포항·경주·울릉 등 경북 동해안권 발전 축에 대한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경북도 정책자문관과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쳐 (사)정책기획연구원 대표이사·원장을 맡은 이석희 박사가 연구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연계 동해안권 발전방안’을 토대로 경북 동해안권과 연계한 공항경제권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거점화 프로젝트 발굴과 해양·내륙을 연계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등을 살펴본다.
<글 싣는 순서>
1. 경북 동해안권의 특성과 공항 활용 수요
2. 통합신공항 연계 경북 동해안권 개발 잠재력과 과제
3. 아시아권 허브공항이 주는 시사점
4. 통합신공항 연계 경북 동해안권 발전방안
△ 글로벌 네트워크형 교통·항공·항만 인프라 확충
대구·경북통합신공항과 연계해 통합공항경제권의 거점지역인 경북 동해안권을 중심으로 한 교통·항공·항만 인프라 확충은 지속 가능한 동해안권 발전과 환동해경제권 중심의 성장동력 확보 견인과 더불어 역동적인 글로벌 발전 축으로서의 동해안권 위상 정립의 필수조건이다. 그중에서도 부산~울산~포항~함흥을 잇는 동해안고속철도를 조기에 건설해야 한다. 동해안 고속철도를 통해 중국내륙횡단철도(TCR), 몽골횡단철도(TMGR),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잇는 유리시아철도망과의 연계가 가능한 고속철도망 체계를 구축해 공항경제권 중심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중구내륙고속철도(대구~신도청~문경~충주~수도권)와 남부내륙고속철도(김천~고령~거제) 건설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내륙권고속철도망과 유라시아철도망과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
통합신공항에서 3시간 비행 거리에 인구 100만 명 규모의 메가시티가 43개나 위치한 점을 고려하면 중국, 러시아, 북한, 일본을 포함하는 환동해경제권의 엄청난 잠재시장 규모가 가늠되는데, 통합신공항이 동북아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는 동해안고속도로 중심의 연계 고속도로망 확충도 전제돼야 한다.
공항을 중심으로 사람과 물류, 자본이 모여들고 순환하기 위해서는 항공경제권 중심의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인데, 통합신공항 건설과 연계한 글로벌 거점기능 강화 차원에서 포항·울릉공항 활성화 방안 마련도 시급하다. 포항·울릉공항을 어떻게 특성화하고, 통합신공항을 중심으로 동북아 연계 항공망 구축과 관련한 항공산업 생태계를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라는 뜻이다. 포항-경주권 대상으로 포항경제자유구역, 신항만 영일만대교 건설, 경주 신라왕경복원 프로젝트와 연계한 국제자유도시 지정을 통해 글로벌 거점화를 추진하고, 포항권의 경제자유구역, 포스코, 포스텍, 스마트 해양신도시, 경주권의 불국사, 경주엑스포, 원자력 융합기술산업화단지 등과 연계한 국제자유도시를 지정해 육성해야 한다.
이석희 박사는 “사람, 상품, 자본의 국제적 이동이 최대한 보장되면서 비자 없이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관광을 즐기고, 기업활동에 최대한 편의를 보장하면서 수입 관세가 없거나 감면되는 국제자유도시로 지정·육성하는 전략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네트워크형 동북아 중추 항만 기능 확보도 중요한 요소다. 항만 본래의 기능인 여객수송과 해운물류를 넘어 크루즈와 마리나 같은 해양레저 기능이 떠오르는 추세에서 통합신공항 건설을 기점으로 환동해 축은 동북아의 해운물류 중추 항로뿐만 아니라 동북아 크루즈 기항지로서 부상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영일만항은 환동해경제권의 거점항만(Hub Port)으로 위상을 확보하면 미주와 유럽을 비롯해 세계 각국을 연결하는 기간 항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항만 운영의 효율화를 위한 복합일괄 수송체계 구축, 통관시스템 현대화, 글로벌 마케팅 시스템 구축, 철도·도로·항만·공항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종합물류정보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
△스마트 해양신도시·해양자원 개발거점 확보
동해안고속철도와 크루즈 항로(포항~러시아)를 중심으로 러시아~중국~일본을 연계한 환동해경제권 글로벌 거점도시 기능 확보를 위해 환동해경제권 스마트 해양신도시 조성이 필요하다. 이석희 박사는 “환동해경제권을 선도하는 스마트 기술기반 복합해양도시를 목표로 혁신과 창조의 유동의 공간, R&D와 문화의 창조의 공간, 소통과 개방의 교류의 공간, 여가와 레저의 문화의 공간을 기본 콘셉트로 설정해 단계별 추진전략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박사는 구체적으로 복합업무지구(국제금융, 중심상업, 비즈니스), 융합산업지구(스마트 해양, MICE, R&D 센터, 플랜트, 수중로봇, 엔지니어링), 국제물류지구(동북아교류센터, 전시컨벤션센터), 해양레저지구(해상치유, 수중레저, 워터프론트, 해양레포츠) 등으로 구분해 지속 가능한 도시로 조성할 것을 강조했다.
△ 스마트 해양융복합산업 글로벌 거점 육성
해양플랜트산업 집적기반 확보는 동해안권 해양산업의 성장동력 확보와 글로벌 거점화를 위한 핵심요소 중 하나다. 그래서 동해안권 중심의 ‘소재-가공-기자재-모듈부품-완제품’으로 이어지는 플랜트산업 가치사슬체계 구축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포스코를 중심으로 원자재시장과 연계한 시장진입기반을 확보하고, 전문기술인력 양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해양 기자재와 플랜트산업 기반 조성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동해안권 특화 어종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화와 수출산업화를 위한 가공·생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내외 유명기업을 유치하고, 기술개발 산업화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스마트 수산물가공산업화단지는 지능화·자동화 기반 스마트 양식장과 기술개발 및 산업화, 마케팅 및 기업지원 등 연관 기업 집적과 수출 산업화를 위한 전진기지로 육성해야 한다. 여기에다 고부가가치 해양자원으로 각광 받는 해양심층수는 대륙사면의 경사가 급하고 수심이 깊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산업화 가능성이 큰 특화자원인데, 울릉도를 거점으로 한 해양심층수 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해양심층수 활용 해수냉난방시스템과 온도 차 발전시스템 개발·보급, 기능성 식품소재 및 바이오·의료소재 개발 및 산업화 등을 위한 체계적인 추진전략 마련도 필요하다.
이 밖에도 통합공항경제권과 연계한 해양레저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울진 후포와 경주 감포, 포항 구룡포 등을 대상으로 해양레저장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과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유치 전략 마련도 세워야 한다.
△글로벌 시장 선도형 융합에너지산업 기반 구축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를 연계한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구축은 비교 우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경북 동해안 축을 중심으로 경주 월성·울진의 원자력 발전소, 경주 방폐장과 한국수력원자력, 영덕풍력발전단지 등을 연계해 세계적인 에너지산업 벨트로서의 위상 확보도 중요하다. 특히 동해안권은 울진원자력발전소와 환동해산업연구원, 월성원자력발전소, 한국수력원자력, 양성자가속기, 포스텍과 방사광 가속기를 연계해 세계적인 원자력발전 융복합 산업화 기반 구축이 쉽다. 이들 핵심거점과 연계해 원자력의 글로벌 산업화를 위한 비즈니스 거점을 마련하고, 원자력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성장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더불어 해상풍력발전복합단지 조성, 가속기 기반 R&D 비즈니스 인프라 확충, 해수와 담수의 염도 차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 염분 차 발전단지 조성을 통해 환동해경제권 중심의 글로벌 경쟁력을 선도할 차별적이고 특색 있는 융합에너지산업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