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도서관 무료화·캠핑 공동육아·단지 중심 돌봄 확대…체감 이용편의 크게↑
“양적 확충 넘어 품질·격차 해소 필요”…아동친화도시 인증 준비도 본격 추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는 구호에 그치면 시민이 체감하기 어렵다. 안동시는 올해 육아·돌봄·아동권리 전 분야를 손질하며 그 목표를 실제 변화로 연결하는 데 집중했다. 현장을 찾은 부모들은 “이전보다 확실히 이용이 쉬워졌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정책 확대 속에 돌봄품질 유지와 지역 간 이용격차 문제는 향후 과제로 지적된다.
경북에서 처음 도입한 육아종합지원센터·장난감도서관 연회비 전액 무료화는 올해도 이어졌다.
10월 기준 이용객은 △지원센터 1만8336명 △장난감도서관 1만1579명. 지난해보다 방문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11월에는 두 시설 모두 리모델링을 마쳐 영유아 활동공간의 안정성과 쾌적성이 강화됐다.
상주에서 온 한 부모는 “타 지역엔 이용료가 있는 곳도 많은데, 안동은 무료라서 부담이 적다”며 “장난감 종류가 늘면 더 좋겠다”고 말했다.
올해 가장 주목받은 프로그램은 단연 ‘텐트 밖은 안동’ 캠핑 공동육아 프로그램이다.
9~10월 세 차례 운영된 행사에는 45가정 180명이 참여했다. 단호샌드파크에서 1박 2일 동안 진행된 체험에 대해 부모들은 “아이 중심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함께 쉬고 소통하는 프로그램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다문화·장애아동 가정이 함께 참여해 ‘공동육아 가치 확산’이라는 정책 의도도 일정 성과를 냈다는 평가다.
야간·주말 돌봄을 제공하는 K보듬6000은 올해도 큰 무리 없이 운영됐다.
영무예다음아파트에는 0세 특화 공동육아나눔터가 새로 문을 열 준비를 하고 있으며, 같은 단지에 다함께돌봄센터도 추가 개소했다.
육아·돌봄 시설이 아파트 단지 중심으로 촘촘해지며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돌봄 서비스”가 현실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안동시는 올해 유니세프와 협약을 맺고 표준조사, 시민 의견조사, 아동참여위원회 운영 등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작업을 진행했다.
시는 2026년 하반기 인증을 목표로 한다. 인증을 받으면 국제 네트워크 참여·전문가 자문·해외 아동도시 협력사업 등이 가능하다.
다만 아동권리 관련 지역 전문가들은 “유니세프 인증이 목적이 아니라, 실제 정책에 아동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구조가 정착돼야 한다”며 “지속 모니터링이 필수”라고 조언했다.
안동시는 ‘아이행복 사계절 상상놀이 프로그램’, 어린이 주간 행사, 여름 공연, 자연친화 놀이터 프로그램 등 계절형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연간 참여자는 2만4260명으로 집계됐다.
가장 높은 방문을 기록한 행사는 암산 얼음축제 전통놀이(1만4500명)였다.
한 참여 어머니는 “평소에 가기 어려운 자연형 체험 프로그램이 많아 아이에게 좋은 경험이 됐다”고 말했다.
맞벌이와 한부모 가정의 공백을 줄이기 위해 △아픈 아이 병원 동행 서비스(159명) △경로당 연계 돌봄 4곳 운영 △다함께돌봄센터 7곳 확대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펼쳤다.
또 아이돌보미 194명, 지원 아동 620명 등 인력을 확충했고, 다문화가정 135명에 대해 고향방문 지원·멘토링·심리치료 등 개별 지원도 이뤄졌다.
아동학대 대응을 위해 사례결정위원회·정보연계협의체 15회 운영, 뜻 캠페인 12회 실시, 보호대상아동 140명 관리 등 지역 아동 보호체계를 강화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아동학대 대응은 단순 단속이 아니라 여러 기관이 정보·판단을 함께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변화가 “양적 확충의 해”였다면, 내년부터는 돌봄 품질·지역 간 접근성·사후평가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지역 아동복지 연구자는 “아파트 단지 중심 돌봄은 접근성이 좋지만, 농촌·읍면 지역의 돌봄 격차가 커질 수 있다”며 “도시 전체 균형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부모들의 육아 부담을 지자체가 함께 나눠야 한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추진해 왔다”며 “앞으로도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완성을 위해 새로운 지원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