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보조금 2069억 역대 최고… “재정 안정화 단계 진입”

▲ 성주군청
▲ 성주군청

성주군이 내년도 본예산을 6680억원으로 편성하면서, 최근 수년간 쌓여온 지역 현안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단순한 숫자 증가가 아니라 ‘어떤 분야에, 어떤 방식으로, 왜 더 투자하는가’가 선명하게 보이는 예산이다. 국고보조금만 2069억원을 확보한 점도 성주군 재정 구조가 한 단계 안정기에 들어섰다는 신호로 읽힌다.

올해보다 260억원 증가한 예산 규모는 일반회계 5천881억원, 특별회계 646억원, 기금 153억원으로 구성된다. 가장 큰 변화는 성주군이 중앙정부와의 조율에서 거둔 성과다. 군은 여러 부처와 직접 교섭하며 필요한 사업 논리를 설득했고, 그 결과 국고보조금이 역대 최고 수준까지 확대됐다.

예산 배분을 들여다보면 성주군이 ‘3대 핵심 현안’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첫째는 초고령사회 대응이다. 사회복지 예산은 1384억원, 전체의 21.2%를 차지한다. △기초연금 503억원 △기초생활보장 152억원 △노인일자리·사회활동 79억원 △장애인지원 51억원 등 노령층의 소득·활동·돌봄 체계까지 촘촘히 반영됐다. 인구감소와 고령화 속도가 빠른 성주군 특성상 이 영역은 단순 복지를 넘어 지역 존속과 직결되는 문제다.

둘째는 농업 기반 회복과 지속가능성 강화다. 성주군 농업·임업 분야 예산은 무려 872억원. △계절근로자 지원 △농촌인력수급 대책 △유기질비료 △농어민수당·직불제 △청년농업인 정착지원 △축산 분야 등 폭넓은 사업이 포함됐다.

이 중 청년농업인 정착지원 23억원은 인구구조 개선과 농업기반 유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가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고령화·인력난으로 ‘농업의 지속 가능성’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성주군이 올해 농업분야를 사실상 전략투자 영역으로 설정한 셈이다.

셋째는 재난·안전 인프라 구축이다. 최근 기후위기·국지성 재해가 빈발하면서 성주군은 안전 분야 예산을 대폭 보강했다. △맨홀 추락방지 44억원, △급경사지 정비 20억원,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114억원,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 136억원, △재해위험 저수지 정비 42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군이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을 장기 과제로 보고 실제 사업화하는 흐름으로 읽힌다. 재난안전상황실 시스템 구축,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증설도 같은 맥락이다.

지역경제·산업 기반 투자도 놓치지 않았다. △성주3일반산업단지 조성 70억원 △중소기업 운전자금 이차보전 13억원 △소상공인 지원 9억원 등이 반영돼 지역 기업과 상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이 이어진다.

특히 성주혁신지원센터·취업센터 운영은 청년층·이직자·구직자 기반을 넓히는 효과가 있어 장기적으로는 인구 정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주민숙원사업에는 323억원이 계상됐다. 군은 지역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생활에 직접 연결되는 사업들을 우선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이병환 군수는 “어려운 재정 상황에서도 지역경제 활력과 민생 안정에 초점을 맞췄다”며 “앞으로도 주민생활 불편 해소에 집중 투자해 살기 좋은 성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성주군 예산안은 군의회 심의를 거쳐 12월 8일 최종 확정된다. 예산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이 구조가 향후 3~5년 동안 지역의 인구·농업·안전 정책을 끌고 갈 ‘기초체력’이라는 점이다. 이번 편성은 성주군이 미래를 향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려는지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신호로 평가된다.

김정수 기자
김정수 kjsu7878@kyongbuk.com

성주군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