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50년 경험·가속기 인프라·연구기관 집적…경북 “국가 에너지 미래 책임질 도시”
경주·새만금·나주 3파전…이달 말 최종 후보지 발표 예정
경북도가 차세대 에너지 기술인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를 위해 경주시를 최적 후보지로 제시하며 국가 단위 에너지 연구 인프라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1일 대전 한국연구재단에서 열린 핵융합 연구시설 용지 공모 발표평가에서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역의 연구 기반과 주민 수용성을 핵심 논거로 내세웠다. 발표자로 나선 송호준 경주시 부시장은 20분간 발표를 통해 경주의 연구시설 유치 배경과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진 30분 질의응답에서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경주의 장기 원전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후보지의 안정성을 강조했다. 양 부지사는 “경주는 50년 원전 운영을 통해 안전성과 주민 수용성을 확인한 지역”이라며 “포스텍, 한동대, 원자력연구원 등 인근 연구기관과의 연계성이 높아 핵융합 연구의 핵심 거점으로 적합하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날 평가를 앞두고 10여 차례 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진행하는 등 사전 준비를 진행했다. 이번 공모에 제출된 유치 부지는 경주시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유휴부지 약 51만㎡이며, 산업단지로 계획된 부지라는 점에서 시설 건립과 착공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제시됐다.
핵융합 기술 개발에 필요한 지역 연구 인프라 역시 강점으로 제시됐다. 경주시는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폐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포항공과대학교와 한동대학교는 노심 플라스마 제어, 혁신형 디버터 등 핵융합 8대 핵심기술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핵융합 기술 특성상 양성자가속기·방사광가속기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포항가속기 등과 협업이 가능한 경북의 지리적 이점을 높게 평가했다.
경주는 2025 APEC을 개최한 경험이 있어 향후 국제 연구협력 허브로의 확장성도 거론됐다. 경북도는 이러한 기반이 핵융합 연구의 국제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핵융합 연구시설은 미래 에너지 경쟁력과 요구 전력량 측면에서 국가적 과제”라며 “과거 경북이 원전 전력을 바탕으로 산업화를 뒷받침한 것처럼, 핵융합 기술 상용화를 위한 연구부지 역시 경주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1조2000억원이 투자되는 인공태양(핵융합) 연구시설을 경북 경주시가 유치할 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 시설 유치를 위해 현재 전국에서 경주시와 새만금(군산), 나주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핵융합 연구시설은 현재 경주와 전북 새만금, 전남 나주가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부지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