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환경·거버넌스 4대 분야 104개 과제 제시…2030년까지 5개년 실행계획 추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심의 거쳐 구정 전반에 반영…청년 활력 도시·글로벌 관광거점 목표”
대구 중구 미래세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안이 마련됐다. 20년 단위의 기본전략과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할 5개년 계획으로, 내부 검토를 거쳐 연말에 확정될 예정이다.
25일 중구청에 따르면, ‘중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용역’은 올해 4월부터 추진됐다. 이후 대내외 정책 환경 분석을 비롯해 중구 주민·공무원 77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지역 전문가 워크숍, 주민설명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절차가 이뤄졌다.
마무리된 용역 결과는 지난 24일 구청 상황실에서 공유됐다.
중구 미래세대를 위해 추진할 과제는 사회, 경제, 환경, 거버넌스 등 4개 분야로 구분됐다.
사회 분야 발전 방안에는 인구 특성과 변화 추이, 만성질환 증가와 주거지 노후 등을 고려한 복지가 반영됐다. 포용적 복지와 미래 세대 중심의 정주 환경을 꾸려 ‘젊고 활력있는 도시’를 조성하는 전략이 수립됐고, 촘촘한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과 건강·배움·성장 보장 등의 목표도 세워졌다.
환경 분야는 ‘기후변화 대응 도시’ 전략을 바탕으로 구민의 깨끗한 물 이용 보장 등 6개 목표가, 경제 분야는 ‘글로벌 관광도시’ 전략과 함께 대구 글로벌관광 거점 도시실현 등 3개 목표가 설정됐다.
거버넌스 분야는 ‘지속가능허브 도시’를 조성하겠다는 전략으로, 청렴하고 투명한 구정 운영과 지속가능한 중구 실현이 목표다.
총 17개 목표에 따른 48개 세부 목표와 104개 추진과제를 수립한 상태다.
구청은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에 따라 2026년부터 2045년까지 20년 단위 기본전략과 2026년부터 2030년 5개년 추진계획을 반드시 수립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용역은 향후 구정 전반에 적용될 정책 체계의 틀을 완성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제시된 최종안은 내부 검토를 거쳐 ‘중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될 계획이라며 확정 이후 분야별 세부 사업을 구정 전반에 연계해 정책 실행과 성과 관리, 정책 평가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