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맘카페 청와대에 지열발전 중단요구 청원
지진 원인규명 위한 시민 모임 결성 활동 돌입
제대로된 ‘탈원전 후속 정책’ 마련 목소리 고조

포항 지열발전소
포항지진 이후 포항지열발전소 연관성이 제기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탈원전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재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지난달 15일 포항 지진의 원인중 하나로 포항지열발전연구소가 지목돼 논란이 커지자 정부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사업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울릉군은 지난 2011년부터 ‘울릉도 그린아일랜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양광·풍력·수력 발전시설 구축에 이어 오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1천500억원을 투입해 12㎿급 지열발전소를 건립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포항지열발전소를 건립중인 넥스지오 등에 용역을 의뢰해 울릉군 내 4곳에 대한 지열탐사에 나서는 등 본격적인 준비를 해 왔으나 이번 포항지진 이후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전면 유보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경기도 화성시 역시 심부지열 에너지를 이용한 난방열 공급에 나서기로 하고 지난 9월 심부지열 개발업체인 한진D&B·D&B에너지와 협약을 체결, 화성시청내 관용차량 주차장에서 시추공을 뚫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도 지열발전과 비슷하게 지하 4㎞~5㎞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열에너지 저장공간을 만든 뒤 물을 주입해 데운 뒤 난방열로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포항 지진발생 이후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이런 가운데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지열발전 중단 및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 지고 있다,

포항 엄마들 모임인 ‘맘카페’는 포항지열발전소 연관설이 나온 뒤 곧바로 청와대에 지열발전 중단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 2만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참여했으며, 또다른 시민들은 네이버에 ‘포항지진 원인규명을 위한 시민모임’을 결성해 활동에 들어갔다.

시민모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포항지열발전소의 지진 유발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질 수 있을 지 의심스럽다”며 “차제에 정부 에너지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발표 이후 태양광을 비롯한 천연·신재생에너지사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후속대책은 제대로 마련되지 않고 있다.

대표적 천연에너지인 태양광의 경우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셀을 설치하는 면적만큼 나무를 심는 것이 이산화탄소 감축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가운데 노후 태양전지셀 처리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우려를 낳고 있다.

통상 태양전지셀의 수명은 5년~25년 정도로 보고 있으며, 주 소재는 강화유리와 폴리실리콘, 폴리머 수지(플라스틱 소재)등로 구성돼 있다.

폴리실리콘은 규소에서 실리콘을 뽑아내는 공정을 통해 만드는 작은 실리콘 결정체들로 이뤄진 물질이다.

선진국에서는 노후 태양전지셀중 폴리실리콘과 유리를 재활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재활용 규정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풍력발전의 경우에도 과거 미국이나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밤·낮 기온 차가 커 바람이 많이 부는 사막 등지에 설치했으나 기후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중단하는 대신 지상 영향이 덜 미치는 해상플랜트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풍력발전기의 날개가 돌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저주파의 영향 역시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는 등 천연·신재생에너지로 인한 문제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이번 포항지진과 관련한 포항지열발전소 문제에서 드러났듯이 면밀한 검토도 없이 마구잡이로 개발에 나서면서 또다른 문제점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높다는 점에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