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아이들 희생 없도록 안전 시스템·매뉴얼 제정, 사회 구성원 모두가 나설 때

한주탁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획홍보실장

교사: "지금 상황 어때?"

학생: "괜찮아요"

교사: "얘들아 살아서 보자" "전부 사랑합니다" "여러분 사랑합니다" "살아서 만나자"

물 밖에 있는 우리는 해줄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데 긴박한 상황에서도 서로에 대한 사랑이 묻어난다. 어제 상상도 못한 여객선 침몰사고에 대한민국 학부모들의 가슴을 다시 한 번 먹먹하게 만들었다. 우리 학생들은 해병대캠프에서 바닷물에 휩쓸리고, 폭설로 지붕에 깔리고, 이번에는 여객선 침몰로 소중한 목숨을 잃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정말 대한민국 학생여러분들은 안녕들 하신지 묻고 싶다.

지난번 필자는 '아이들을 가지고 장난치지마라'는 글을 올린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러한 일이 반복되어 다시 재론한다는 것이 무의미함을 느낀다. 그렇지만, 우리사회의 미래이자 소중한 자산인 학생들의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외치고 싶다.

첫째, 학생들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안전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아직 지각력에서 미성숙한 학생들은 안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요즘 학생들이 체험활동의 증가로 교외활동이 점점 증가되고 이를 외부에 위탁하는 일이 늘어가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학생들을 단순한 돈벌이 수단으로 생각하여 프로그램의 양질성과 안전에 대해서는 소홀하는 측면이 있다. 학생들의 프로그램은 공공성이라는 면을 자각하고 체험활동에 있어서 안전에 대한 대책을 제일 먼저 생각하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학생안전시스템과 매뉴얼을 제정하고 학생들과 교사에게 교육시켜야 한다. 각 지역, 계절,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위해요소 및 재난에 대해 이를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시스템화해야 한다. 이를 학생들에게 반복적으로 교육하여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매뉴얼에 따라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치권에서는 소모적인 정쟁 속에서 빠져나와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어젠더를 가지고 논의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선거공학적인 계산속에서 일반 국민들의 민생은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있다. 특히 학생, 노인 등을 비롯한 사회약자들은 사회안전망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다. 국회에서는 학생안전에 관한 법률인 '학교보건법', '아동복지법',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등이 있는데 이러한 법률에 보완할 점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대한민국 어린이 헌장'에는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니고 겨레의 앞날을 이어나갈 새 사람으로 존중되며, 바르고 아름답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함을 지표로 삼고 '어린이는 해로운 사회 환경과 위험으로부터 먼저 보호되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이것은 우리 기성세대가 학생들에게 반드시 해야 할 최소한의 책무이다.

걱정이 앞선다. 온갖 사후대책이 쏟아지고··· 그리고 여론이 잠잠해지면 이 모든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잊혀질까봐···. 이제 이런 후진국적인 사고는 되풀이 하지 말자. 지금도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학생들이 무사히 구조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먼저 생을 마친 고인들의 영전에 명복을 빌며 소중한 자식과 벗을 잃은 유족과 친구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