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측에 내년 1월에 남북대화를 제의했다. 남북대화 제의의 주체가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다. 그동안 북측과 대화의 창구 단일화를 주장해 온 우리 정부의 입장에 비하면 이례적이다. 북측은 공식적인 채널보다 민간기구나 개인을 상대하는 행동을 자주 보여왔고 정부는 불편한 입장을 개진해왔다.

최근에도 이희호 여사와 현정은 회장을 개성공단에 초청하면서 당국간 회담은 외면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이러한 북측의 행위는 대화를 희망하는 간접적 의사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래서 정부가 통준위를 통해서 북측의 대화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보인다.

남북 간 대화는 필요하다. 더구나 지금과 같은 남북관계가 내년까지 이어진다면 남북관계는 현정부 내내 경색국면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내년은 광복 70주년이라 민족사적 의미도 있는 해이다. 러시아, 중국 등의 주변국들의 움직임도 북한과의 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 북한의 관계는 예산을 넘어서 진전되고 있다. 더구나 접근이 과거와 같은 전통관계의 복원수준이 아니다. 경제협력관계가 매우 실리적이다. 유라시아이니셔티브 정책을 국정의 주요과제로 삼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북한과 러시아와 협조가 절실하다. 더구나 중국도 북한과 관계를 진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럼 점에서 남북대화는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는 이산가족문제는 물론이고 민간교류 확대,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등을 논의의 대상으로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나아가 예민한 문제인 5·24조치 문제도 검토할 수 있다는 의중도 비추었다. 북측의 종래 통준위에 대한 부정적 기류를 감안해 그들이 고위급회담을 원한다면 그것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우리로선 매우 적극적인 자세의 표명이다.

문제는 북측의 입장이다. 최근 북측의 입장을 보면 대화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북측이 쉽게 대화제의를 거절하기는 힘들 것이다. 인권 문제 등을 내세우면서 우리 측의 대화의지를 타진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남측이 상당히 적극적이고 주체나 의제에 대해서도 유연적 입장이다. 북측은 어떤 형태든 반응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새해에는 남북대화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