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가 어려운 면역질환인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았다.

패혈증은 사람의 혈관에 미생물이나 미생물 독소가 들어가 온몸에 심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염증반응으로 인해 장기가 손상되고 심하면 사망하게 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윤주헌·유지환 연세대 교수팀이 몸속 단백질 중 하나인 ‘세스트린2’이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진은 몸속에 세스트린2가 없는 돌연변이 쥐와 정상 쥐에게 패혈증을 일으키고 생체반응을 비교한 결과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낮추는 메커니즘도 밝혀냈다. 세스트린2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신호’를 없앤다는 것이다.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신호는 다름 아닌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안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소기관으로 일명 ‘세포 속 발전소’라고 불리는데, 미생물이 침입하면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고 이어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사라져 버린다. 하지만 만일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으면 더 강한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세스트린2는 더는 면역반응이 않도록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세스트린2는 대사 질환, 퇴행성 신경 질환, 암 등 각종 질환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패혈증 같은 염증 질환에서 역할은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세스트린2가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낮춘다는 것을 보여 패혈증을 비롯한 각종 염증 질환의 치료법을 찾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 것이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패혈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패혈증, 나아가 노인성 질환 등의 질병 치료법을 개발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교육부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 6월 23일자에 실렸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