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시군에서 인구 유입과 고용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자치단체장들의 치적 사업인 농공단지 조성 사업이 2010년 이후 실효성이 떨어져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고속도로 항만·항공 인프라가 좋은 시군의 농공단지는 분양률이 높지만, 교통망과 물류비, 인력 수급 등이 어려운 일부 시군의 농공단지는 사실상 기업유치가 어려운 지경이다.

농공단지 증가로 선택폭이 넓어진 기업들은 기업 이익이 우선시 되다 보니 한반도 허리권에 놓인 경북 북부지역의 농공단지는 찬밥 신세가 되고 있다.

분양률이 저조한 시군의 농공단지 담당들은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도시의 향우회는 물론 중소기업 박람회, 기업을 직접 방문해 유치 활동을 펴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북의 농공단지는 총 69개로 붐이 일던 1980년대 중반부터 2009년 말까지는 100%의 분양률로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조성된 경북 지역의 농공단지는 미분양률이 높다.

경북지역 농공단지의 전체 분양률은 채 40%도 되지 않고 있다.

봉화의 유곡 농공단지 64.8%, 울진의 죽변 해양바이오 농공단지는 91.9%가 미분양이다. 또 상주의 화서 제2 농공단지는 89.3%, 문경의 산양 제2 농공단지도 79.5% 의 미분양률을 보이고 있다.

예천군은 경우 2014년 착공 2016년 완공된 제2 농공단지는 그나마 첫해 48.4%의 높은 분양률을 보여 순조롭다. 경북도청 이전과 1단계 신도시 조성사업 각종 SOC 사업 등과 맞물려 기업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시군의 사업 초기 1985년부터 2005년까지 조성된 농공단지는 농공단지 진흥법에 따른 각종 혜택과 저가의 택지분양으로 100% 가까이 분양됐다.

2010년부터 조성된 농공단지는 2곳이 분양계획 중이고 3곳만 완료되고 일부는 저조한 분양률을 나타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재정 자립도가 낮고 분양이 저조한 시군은 농공단지 조성비에 들어간 지방채이자 내기에도 빠듯하다.

농공단지 조성 사업은 국비와 도비 시군 비(지방채, 예산편성)로 진행돼 농공단지 도로와 기반시설 등을 조성해 기업들에 감정가로 매각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농림부에서 특화 농공단지 외에는 국비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봉화군의 새마을 경제과 이영완 담당은 “농공단지 입주현황을 보면 수도권의 공장들이 원주까지 진출했으며 부산 경남의 기업은 경주까지 올라온 상태다”라며 “허리경제권인 경북지역이 아직 공장 유치가 저조한 편으로 경북도에서도 이 부분을 발전시키려고 시군과 협력 중이다”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분양률이 저조한 경북지역은 교통망 인력 수급 등의 이유로 기업들이 선호하지 않는 편이라서 분양률이 저조하다”면서 “ 경북도와 시군 담당 부서 간 협력으로 농공단지 기업 유치활동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만 기자
이상만 기자 smlee@kyongbuk.com

경북도청, 경북경찰청, 안동, 예천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