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경북, 일자리 사업 양적·질적 확대운영 시급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경북이 안정적인 노인 일자리 사업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북도 내 모든 시·군의 고령 인구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또 23개 시·군 중 17개 지역(포항, 구미, 경주, 경산, 칠곡, 안동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은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이처럼 노인 인구의 비중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공공 일자리는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다.

경북의 노인 공공 일자리 예산은 602억 원으로 2만7천 246명이 일감을 받을 수 있다. 노인 수 증가에 맞춰 지자체도 해마다 일자리 수와 예산을 늘리고는 있지만,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경북 인구는 269만6천 329명 가운데 12.6%가 34만여 명이 60세 이상 노인이다. 노인 인구는 해마다 빠른 속도로 느는데 공공 일자리 예산 증가율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대구·경북 인구 주택 총조사’에 경북은 100세 이상 고령 인구가 225명으로 2010년 대비 89명(65.4%)이나 늘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46만8천 명으로 2010년보다 5만7천 명(13.8%) 늘었으며, 15년 전 2000년과 비교해 15만4천 명(49%) 증가했다. 고령 인구 비율은 17.8%로 10년 전인 2005년(14.4%)부터 고령사회에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시도별로 보면 2015년 전남의 노인 인구 비중이 21.1%에 달해 초고령사회 진입, 전북(17.9%), 경북(17.8%), 강원(16.9%), 충남(16.3%) 등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 의성군(38.2%), 군위군(37.5%) 등 일부 지자체는 노인 인구 비중이 이미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북의 공익활동사업은 노인 1인당 매달 10일, 30시간 근무 시 월 22만 원이 지급되고 시장형 사업단 운영도 1년에 부대 경비를 포함한 200만 원밖에 지원이 되지 않아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일자리의 급여와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인 11명 중 1명만이 겨우 지자체가 월급을 주는 일자리를 맡은 것이다. 이는 한정된 공공 일자리 예산보다 신청자가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예천군의 경우 전체 인구 4만6천166명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천5천43명으로 인구대비 33%를 차지하고 60세 이상은 1만9천304명으로 41.8%이다. 올해 확보된 예천 지역 공공 일자리 예산은 13억 원정도이다. 그러나 현재 22만 원인 월급을 45만 원 선으로 높여야 실제 노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예천군의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60세 이상 노인들인데도 일자리는 600명에게만 돌아갔다.

지자체마다 노인들을 위한 공공 일자리 수를 늘리거나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정부의 충분한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예천군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위탁 운영하는 한 기관 관계자는 “청년 일자리 문제도 정부의 시급한 사안이지만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농 어촌의 노인들에게 대한 안정적인 일자리와 생활이 안정되게 현재 월 22만 원인 임금도 45만 원 수준으로 올려야만 2인 노부부의 노후 생활에 대한 어느 정도의 보장이 된다”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모든 일자리 만들기 사업이 그렇듯 노인 일자리 사업도 적지 않은 예산이 소요된다”며 “공공영역에서 일자리 늘리기 사업을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나이에 비해 건강한데도 일을 할 수 없는 노인이 늘면 우울증이나 고독사 등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경북 도립대학교 김규덕 교수는 “수명이 계속 늘면서 일을 할 수 있는 연령대도 높아지고 있다”며 “충분히 근로 능력이 있는데도 일거리가 없으면 노인과 관련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가 있으며 초고령화 사회의 노인 일자리 부분을 정부와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이다”고 말했다.





이상만 기자
이상만 기자 smlee@kyongbuk.com

경북도청, 경북경찰청, 안동, 예천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