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등 전국 곳곳서 산불 발생···소각·담배 등 원인

지속되는 가뭄과 잦은 산불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가면서 귀중한 산림소실에 따른 국민적인 상실감이 커져 가고 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국가적인 정책입안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소중한 산림자원이 불에 타 없어지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의 시선이 커져 가고 있다.

특히 농사용 및 생활쓰레기 소각, 등산객 실화 등에 의한 산불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산불방지를 위한 의식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4일 낮 12시 7분 경북 성주군 선남면 도흥리 야산에서 발생한 불이 임야 2ha를 태우고 이튿날 오전 9시 20분께 잡혔다.

산림당국은 5일 오전 5시 30분부터 헬기 14대와 공무원 등 600여 명으로 산불 진화에 나서 큰불은 잡고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주 산불이 진화되는 날 김천 아포면 대성리 한 백숙식당에서 실수로 난 산불은 330㎡를 태우고 30여 분 만에 꺼졌다.

성주 산불은 산 중턱에 자리한 한 포장회사 기숙사에서 근로자가 생활 쓰레기를 태우다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최근 대구·경북 곳곳에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지난 4일 밤 11시 37분께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산48번지에서 산불이 발생 국유림 0.3ha를 태운 뒤 5일 오전 11시 28분 잔불정리까지 진화 종료했다.

이날 산불은 야간에 발생한 데다 접근마저 어려웠으나 진화인력 130여 명이 갈퀴와 등짐펌프로 밤새 방화선을 구축하고 진화에 나섰다.

지난달 29일 대구 동부소방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3분께 동구 내동의 팔공산 인근 야산 인근 들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소방서 측은 신고를 접수 받고 헬기 1대와 차량 13대, 소방관 40명을 현장에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앞서 지난달 26일 오후 4시 54분께 동구 내동 공산터널 인근 야산에서도 A(80대)씨가 쓰레기를 소각하다 산불을 냈다.

같은 날 낮 12시 33분께도 내동 진각사 인근 속골에서 무속행위를 하던 B(60대)씨가 산불을 냈다.

대구에서만 올봄 20여 회의 산불이 발생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달 6일 대관령 기슭에서 발생한 산불은 거센 바람을 타고 강릉 시내로 옮겨 붙었다.

산불은 37시간 43분에 진화됐지만, 252ha의 울창한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다.

피해지역 주민들은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하고 있다. 한 달이 지난 5일 산불현장은 녹음이 짙어지면서 산불피해지역과 대조를 보였다. 녹음 속에 벌레 먹은 듯 잿빛과 갈색이 더욱 뚜렷한 상흔으로 드러났다.

이번 산불로 집 잃은 이재민 37세대, 80명은 임시 주거용 조립식 주택 6세대(13명), 친척집 7세대(12명), LH 임대주택 24세대(55명)에 거주하고 있다.

이처럼 산불은 국민의 재산피해와 생명을 위협하면서도 산림이 가져다주는 막대한 수혜를 한꺼번에 잃게 하는 엄청난 피해로 닥쳐온다.

화재로 소실된 임야의 복구기간은 무려 100년 이상이 걸린다.

경북도 내 한 자치단체 산림부서장은 “도와 일선 지자체가 매일 같이 영상회의 등을 통해 산불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조그만 부주의가 큰 산불로 이어지고 있는 사례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담배 불 실화 등도 원인이 되고 있지만 대부분 농사용 또는 생활쓰레기를 소각하다가 산불로 옮겨 붙는 사례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상당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큰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강릉·삼척시와 경북 상주시 등에 빠른 복구를 돕기 위해 총 27억 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한다.

특별교부세는 강릉에 10억 원, 삼척에 10억 원, 상주에 7억 원 등으로 지원되고, 산불 진화에 동원된 인력·장비 비용, 응급 복구, 이재민 구호 등에 사용된다.

아울러 안전처는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산불대책지원본부’를 가동, 중앙사고수습본부(산림청)와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강원도·경북도)의 진화활동과 응급 복구, 이재민 지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

권오항 기자
권오항 기자 koh@kyongbuk.com

고령, 성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