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수렵기간 중복 피해, 총기 인명사고 예방해야

박종목 경주경찰서 중앙파출소장

최근 수렵장의 총기 사고로 인해 성주와 청송에서 각각 1명씩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총기 사고는 과거에도 매년 한 두건씩 해마다 수렵철이면 이어져 왔다.

수렵장에서 발생하는 총기사고는 1차적으로 엽사들의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과연 엽사들만의 책임인지 이제는 한 번쯤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 수렵인구는 3만여 명이 조금 넘는다. 환경부에서는 매년 11월 1일부터 이듬해 2월 말까지 4개월간 전국 시·군별로 희망지와 야생조수 서식밀도 조사를 통해 수렵장을 개장해오고 있다. 그런데 이 수렵기간과 장소 설정을 지켜보면 우리는 커다란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는 11월이면 농촌지역의 추수가 거의 마무리 될 시기였지만 근래 들어서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11월 중순은 넘어야 추수가 그제서야 확실하게 마무리 된다. 그래서 이보다 앞당겨 11월 1일부터 이미 수렵장이 개장되면 엽사들은 들판과 야산에서 농민들과 마주칠 수밖에 없고 그만큼 총기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고 봐야 한다.

매년 수렵총기로 인한사고가 대부분 11월 초에 발생하는 언론보도들이 이러한 사실을 충분히 뒷받침하고 있는데도 당국에서는 예로부터 해오던 타성에만 젖어 수렵장 개장 연기를 아예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

장소적으로도 과거 도별 순환 수렵장에서 2000년부터 시,군별 수렵장으로 변경이 됐는데도 각 지자체에서는 업무의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수렵장 설정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금년에도 경북은 세군데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22개 시·군만 수렵장을 개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권역별로 함꺼번에 묶어 일정기간마다 순환하겠다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협소한 수렵장에 전국에서 몰려온 많은 엽사들이 밀집되면 총기사고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야 마는 것이다. 겨울스포츠인 수렵은 야생조수 서식밀도를 조절해 농작물을 보호하고 농촌지역 경제에 커다란 도움이 되며 수렵인들의 적절한 취미활동을 보장하는 등 순기능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인류와 함께 발전해 온 수렵이 선순환 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수렵기간의 단축, 수렵장 확장의 제도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렵정책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본다. 이와 아울러 수렵인들도 포획물에 대한 욕심을 던져 버리고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할 때 우리나라 수렵환경은 더욱 안전해지고 수렵문화는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는 더 이상 총기로 아까운 인명이 희생되는 수렵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해진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