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남구 장기면 학계리에 CO2(이산화탄소)저장 시설이 있다. 이 육상 CO2저장시설은 2016년 굴착을 시작했다. 가스 주입정을 800m까지 판 상태에서 시험 주입을 앞두고 사업을 멈췄다. 대부분의 포항 시민들은 학계리에 육상 CO2저장 시설이 하나 더 있었다는 사실에 깜짝 놀란다. 특히 학계리 등 인근 주민들은 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소처럼 CO2저장시설 역시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불안해서 못살겠다”는 반응이다.

포항시민들은 정부가 주도한 지열발전사업처럼 CO2저장시설 역시 그 위험성에 대해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업이 진행됐다. 그도 그럴 것이 포항시도 이 시설의 문제점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정부가 지난 2010년 7월 ‘국가CCS(CO2 capture and storage)종합 추진계획’을 세우고 2017년부터 연간 100만t씩 CO2를 처리키로 하고 사업을 벌여왔다. 그런데도 정부는 물론 포항시도 시민을 상대로 한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시민 안전은 안중에 없는 정부와 지자체의 안일한 업무 추진이 지진을 촉발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지금이라도 정부와 포항시는 적극적으로 사업의 추진 배경과 앞으로의 처리 문제에 대해 시민들에게 밝혀야 한다.

경북일보 지면을 통해 장기면의 육상CO2저장 시설이 알려지자 “포스코 앞 바다에만 CO2저장시설이 있는 것으로 알았는데 깜짝 놀랐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부 언론에 따르면 포항시도 이들 시설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포스코와 400여m 떨어진 해상의 석유시추선 형태의 CO2저장 시설에도 2016년 11월 CO2 100t의 시험주입을 했지만 포항시민들은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가 지진 이후 연구와 가동을 중단했다.

깜깜이 사업을 추진한 정부도 문제지만 해당 지자체인 포항시가 이들 사업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지진 이후에도 이들 사업의 진척이나 안전성 등에 대해 시민들에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CO2저장시설은 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소처럼 가스 주입정을 지하 800m까지 파 들어가 저장하기 때문에 지진 촉발 위험이 있고, 학계에서는 CO2 누출사고가 날 경우 엄청난 재난이 일어날 수 있는 등 안전성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런데도 정부와 포항시는 시민 불안에 대해 석명(釋明)하지 않고 사업만 중단해 놓고 있다. 포항시는 더 적극적으로 정부에 이들 시설의 폐쇄를 요구하고, 시민들에게 원상 복구 등 후속 조치의 절차와 이행 등에 대해 소상하게 알려야 한다. 시민들이 “불안해서 못 살겠다”고 하지 않는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