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사망자 31명 발생…50대 취약계층 많은 것도 특징

2012~2018년 전국 및 대구 폭염일 수 변화. 대구경북연구원.

오죽하면 ‘대프리카’로 불리는 대구의 폭염 특성이 다른 지역과 차이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선 폭염 기간이 길고 인명피해 발생 시점도 더 빠르다. 폭염 취약계층도 사회활동이 활발한 50대가 많고 농촌이 아닌 주택이나 상업시설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했다.

‘국가 폭염 기초데이터의 지자체 활용도 제고 방안-대구시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낸 권용석 박사 등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진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간 기상자료개방포털의 ‘기후통계분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대구의 연평균 폭염일 수는 33.1일로 전국(17일)에 비해 16일 정도 많았다. 2013년에는 54일까지 치솟았다. 대구의 연평균 폭염 지속일 수도 14.1일로 나왔는데, 2018년에는 26일 동안 이어졌다.

폭염에 취약한 특정 시간과 공간도 존재한다.

지난 8월 대구 중구 현대백화점 앞에 ‘녹아 내리는 휴양지’ 조형물이 시민의 시선을 끌고 있다. 경북일보 DB.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7년간 폭염 대책 기간에 발생한 온열질환사망자는 31명이었는데, 동구(7명)와 서구(7명)에서 사망자 발생 비율이 각각 22.6%로 가장 높았다. 수성구는 1명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전국적으로는 8월 초에 사망자 발생 비율이 55.2%로 가장 높았으나 대구는 7월 말에 사망자 발생 비율이 54.8%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전국적으로는 80대(31.2%)가 가장 많았지만, 대구는 80대(22.6%)뿐만 아니라 50대(22.6%)에서도 사망자 발생이 많았다. 직업별로는 전국적으로는 농림어업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순으로 사망자 발생 비율이 높았지만, 대구는 단순노무 종사자, 농림어업 종사자,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순이었다.

열 노출 장소의 경우 전국적으로는 농장(25.7%)에서의 온열질환사망자 발생 비율이 높았지만, 대구는 주거지와 산업·건설지역에서 사망자 발생 비율이 높아 대조를 이뤘다. 사망장소는 의료기관을 제외하면 주택 내가 22.6%로 가장 많았다.

이런 사정에도 불구하고 올해 4월 기준 대구의 무더위쉼터 수는 996곳으로 8개 특·광역시 중 5번째로 적게 지정됐고, 대구에서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남구의 무더위쉼터 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폭염 인명피해에 대한 신속한 응급 대처와 함께 상대적 폭염 취약성에 대한 면밀한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무더위쉼터를 적재적소에 맞게 확충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구시는 대도시로서 통상적 개념인 폭염취약계층인만큼 일반인에게도 폭염 피해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계층에 국한된 폭염 대책을 보편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