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대구경북연구원. 그래픽= 양경석
자료 대구경북연구원. 그래픽= 양경석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은 경북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산불 예방을 위해서는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산불대응·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권용석 박사와 이준수·장종환 연구원은 23일 대경 CEO 브리핑 제649호를 통해 발표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산불대응·관리체계 구축해야’>라는 주제의 연구결과에서 이렇게 제안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동안 경북에서는 79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타 시·도 평균인 28건보다 2.7배 많다. 경북의 최근 10년 간 피해면적은 축구장 494개 정도에 이르는 353㏊인데, 타 시·도 평균 66㏊보다 5.3배 더 높다. 경북의 최근 10년 간 산불 피해액은 1700여억 원인데, 전국 산불 피해액의 25%에 달한다.

 

빅데이터 기반의 산불위험도 예측으로 분석한 경상북도 산불 3대 고위험지역.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진은 산림드론감시단, 스마트 산불예방체계 구축, 스마트 산림재해 앱 개발 등을 통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북의 산불 발생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서 산불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첨단 기술개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권용석 박사는 “산불 예측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산불 발생의 주된 원인과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인력과 자원을 집중적으로 배치한다면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면서 “산불위험도 분석을 통해 지역별로 다른 산불 발생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지역 특성에 맞는 산불 대응 정책을 세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연구진이 산림빅데이터거래소에서 수집한 1990년~2019년의 경북지역 산불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산자나 성묘객 실화와 같은 인적 접근성 요인, 습도나 풍습 등의 기상요인, 산불의 확산과 발화에 영향을 주는 산림환경요인 등 3가지를 산불 발생 요인으로 정해 산불위험도를 예측했는데, 77%의 정확도로 산불을 예측했다. 올해 산불 발생 위치와 비교하면 39건의 산불 중 30건의 산불이 고위험 등급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분석 결과를 시·군별로 보면 칠곡군, 경산시, 영천시 순으로 산불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칠곡·경산·영천은 시·군청과의 거리, 휴양림과 묘지로부터의 최소거리와 같은 인적 접근성 요인(입산자 실화)이 산불 발생에 주요하게 작용했다. 이 지역에 대해 연구진은 드론을 통해 높은 위험도 구역의 등산로와 성묘·관광지 등을 중심으로 산불 조심 당부 안내멘트를 송출해 등산객들에게 경각심을 높이는 조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불 위험도 분석에 따른 산불대응센터의 최적 입지 선정도 가능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현재 경북은 산불피해면적에 비해 소방자원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데이터에 기초해 소방자원의 효과적인 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권 박사는 “파주시가 산불대응센터를 신설하면서 산불 발생률이 전년 대비 56%나 감소하는 등 상당한 효과를 거뒀다”면서 “산림청이 산불의 조기 진압을 위해 2019년 최초 설립해 올해 51곳까지 확대한 산불대응센터는 경북지역에 12개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불 위험도 분석을 통해 고위험 밀집구역을 선별하고 최적의 입지를 선정해본 결과 12개의 산불대응센터가 더 필요하다고 파악됐는데, 국토부와 환경부, 산림청과 같은 관련 부서 협의를 통해 최적의 입지에 산불대응센터를 우선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