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부족 등으로 지역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대응 소극적

경북·대구지역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대응 계획. 대구경북연구원.
경북·대구지역 자동차부품기업들은 미래형 자동차 전환에 있어서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 연구개발 자금·전문인력·원천기술 부족 등을 이유로 미래차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는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자동차를 국가 혁신성장 ‘빅3 산업’으로 정해 미래차 전환 기업 지원에 나선다. 올해를 미래차 대전환 원년을 선포한 대구시와 경북도도 미래차 전환과 미래차 산업생태계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13일 윤상현·박현정 대구경북연구원 박사가 대경 CEO 브리핑 제660호를 통해 발표한 ‘대구·경북 미래차 전환, 대응단계별 맞춤형 전략으로’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북·대구에는 2019년 기준 982곳(경북 656곳, 대구 326곳)의 미래차 관련 업체가 있는데, 전국 대비 19%에 달한다. 전국 1차 부품업체 824곳 중에 13%인 115곳이 지역에 있다.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래차 대응은 소극적이다. 윤상현·박현정 박사가 지난해 10월 27일부터 11월 3일까지 경북·대구 소재 자동차 관련 기업 219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는데, 미래차 대응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25곳으로 전체의 57.1%였다. 계획이 없거나 다른 업종으로 진출하려는 기업도 42.9%(94곳)에 달했다.

미래차 대응 계획이 있는 기업 가운데 생산단계의 기업은 13.2%, 개발단계 18.7%, 계획단계 25.2%로 나타났다. 차체 생산 기업은 69.6%가 대응계획이 없고, 파워트레인, 샤시, 의장, 전기·전자 장치를 생산하는 기업은 절반 이상이 미래차에 대해 대응하고 있었다.

윤상현 박사는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은 기존 업종에서 전혀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기 보다는 기존 기술을 활용한 주력 아이템과 비슷한 분야인 미래차 공용부품의 사업 추진을 희망했다”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미래차 개발을 주저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연구개발·설비투자에 소요되는 재정적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윤상현·박현정 박사는 경북·대구지역 내연기관 자동차부품기업들에 대한 미래차 전환 지원을 위해서는 대응수준별 맞춤형 지원전략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업 매칭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윤 박사는 “엔진부품과 동력전달 등 감소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업종전환형 연구개발 지원, 퇴직자와 실직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밀착형 직업훈련, 신규 가치사슬 진입 지원이 필요하다”며 “대구 자체사업인 미래차 선도기술개발 지원사업의 경북지역 확대 및 사업비를 매칭한 콜라보 지원사업 등 대구와 경북이 미래차 연대·협력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지난해 8월 31일부터 10월 22일까지 완성차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 300곳과 업계 종사자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300개 응답기업 중 80%가 미래차 분야에 진출하지 않았거나 진출했다고 해도 수익을 내지 못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56.3%(169곳)는 미래차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미래차 분야에 진출했지만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도 23.7%(71곳)였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