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 지역에 경북의 23개 시군 가운데 16곳이 포함됐다. 행안부가 애써 ‘인구 감소지역’이라고 했지만 이 지역들은 사실상 ‘인구 소멸지역’이다. 행안부가 지정한 전국의 인구 소멸 위기 지역 89곳 가운데 경북의 16개 시군이 포함돼 지역민들을 놀라게 했다.

최근 경북·대구 지역 인구 감소에 대한 각종 보고서들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행안부의 ‘주민등록인구 세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경북·대구 인구가 5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경북 인구가 261만7552명, 대구 인구가 237만8573명이다. 지난 3월까지 가까스로 유지 되던 500만 명 선이 한 달 새 무너졌다.

이런 인구 감소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역대 정부는 지방의 인구 감소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을 해왔다. 지역의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지역은 ‘빈둥지증후군’을 앓는 부모 같은 신세가 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 전문기관인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20~30세 인구 증감을 분석한 결과 경북·대구는 지난 2018년 126만 8490명이던 것이 지난해 말 115만7063명으로 8.8%, 11만1427명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경북·대구의 총 인구수가 2.3% 감소한 데 비해 MZ(2030세대) 인구 감소율이 3.8배나 높았다.

이 같은 경북·대구의 인구감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출생률 높이기 정책이나 일자리 확충 정도로는 어림없다. 지방대학의 위기와 산업인력 부족은 물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경북도와 대구시 차원의 이민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대구경북연구원이 16일 올해 연말까지 영주권 제도를 포함한 이민정책에 대한 정책 건의 계획을 밝혔다. 시의적절한 대응이다. 경북에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 다문화가족 결혼 이민자와 귀화인 수가 1만 5756명이다. 국적 취득자가 7769명, 외국 국적인 사람이 7987명이다.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 같은 다문화 결혼이민 정책만으로는 한계다. 인구절벽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정주와 이민을 적극 유도하고, 외국인을 상대로 한 보다 적극적인 이민정책 도입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