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편집 부국장(경북본부)
김창원 경북본부 부국장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지난 5월 하순 인도 방문 중 입은 복장이 세간의 관심을 받았다.

인도 북부 우타르 프라데시주(UP) 방문에서 이 지사는 코발트색 한복, 인도풍 노란색 스카프에 양복을 입은 채 행사장에 나타났다.

5월 인도 날씨는 50도 이상의 고온으로 더위에 약한 한복과 스카프는 전혀 어울리지 않은 복장이었다. 그런데 왜 그는 그렇게 중무장을 하고 공식행사에 참여했을까?

그가 방문한 UP지역은 아침 안개 자욱한 갠지스강의 풍광은 멀리서 보면 한없이 고즈넉하고 신비롭지만 주택가 골목에 한발만 딛게 되면 그야말로 딴 세상인 곳이라는 평을 받는다. 사람똥, 개똥, 소똥은 물론이고 온갖 동물들의 똥과 쓰레기로 가득한 곳이다. 인도 모디 총리도 UP주지사도 대책이 없는 지역이다.

그 험한 곳에 이철우 지사는 왜 갔을까? 이유는 분명하다. 지방외교를 통해 경북도를 알리기 위해서다. 이 지사는 평소 지방외교에 대한 지론으로 서로 필요한 것을 주고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필요한 것을 주면 경북도도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지사는 UP지역 거리의 똥을 없애고 깨끗한 거리를 만드는 데는 ‘새마을운동이 특효약’이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 인도에게 필요한 것이 경북도가 가진 최고의 상품인 새마을운동이다. 경북도가 새마을운동의 경험과 노하우를 주면 인도는 우리에게 노동력과 우수인재를 주면 된다. 시장도 공유할 수 있고 기술도 함께 쓸 수 있다. 인도가 가진 IT, 과학, 수학분야의 우수인재들을 경북도가 가진 교육과 산업 인프라에 유인한다면 엄청난 시너지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지사는 인구감소로 위기에 처한 지방의 대학과 산업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우수한 외국인력 유치를 주장해 왔다. 올해 초 경북도는 조직개편을 통해 지방시대정책국을 출범시키며 외국인공동체과를 지방시대정책의 일환으로 포함시킨 것 역시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였다.

경북도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미, 포항, 경산, 대구지역의 국가산단들과 일반공단, 농촌지역에 심각한 노동력 부족과 생산 감소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 지사가 노란 인도 스카프, 불편한 한복을 입고 인도를 찾아 델리대학 학생들과 셀카를 찍은 이유이다. 지방정부가 보증하는 건전한 노동력과 우수인재를 유치해야 만 경북도를 살릴 수 있다는 절박성 때문이다.

이제는 외교가 더 이상 중앙정부의 전유물이 아니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다양한 주체, 특별한 방법을 동원하는 전략전술도 기본이다. 디지털 시대, 디지털 노마드가 주체인 세상에서는 개인, 기업, 지방정부 모두가 외교의 주체이다. 중앙-지방, 강대국-약소국, 친미-친중의 구분도 무용하다. 중앙정부, 각 지방정부가 각자도생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 지사는 지방외교의 가치를 두고 “국가가 하는 외교는 국가안보 등 거시적 안건이 주를 이룬다. 반면 지방정부 간 외교는 ‘실생활 외교’라 할 수 있다”고 설파하고 있다.

경북도가 새마을운동, 산업화의 성지이고 문화적으로 유교, 불교, 가톨릭의 유산을 가진 대한민국 최고의 광역지자체라고 알리면 된다. 그것이 지방 공공외교이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에서 설파한 사자의 용맹과 여우의 꾀, 36계의 제1계인 ‘하늘을 속이고 바다를 건넌다’는 만천과해(瞞天過海)의 계책을 적절히 운용할 때이다. 중앙정부 대신 경북도가 지방외교의 길을 뚫고, ‘2030 세계박람회’ 부산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대통령과 경제대표들, 문화인을 지원하는 후원군 역할도 하면 된다. 이 지사의 말처럼 “수도권 집중화, 지방소멸이라는 커다란 문제 앞에서 경북도가 자생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 돈독한 국제 협력체계를 구축해 경제·문화·인적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국인이 경북도에 머물게 하겠다”. 백번 지당한 말이다. 끌어들이고 공략하는 투 트랙 전략을 운용해 지방을 살리면 나라가 산다. 다음 달에도 이 지사는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연이어 방문한다고 한다. 이 지사의 색다른 실생활 지방외교 행보가 기대된다.
 

김창원 경북본부 부국장
김창원 기자 kcw@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