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재 자연화’ 미명 아래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체하거나 상시 개방키로 했던 금강·영산강의 다섯 개 보(洑)를 원상 복구키로 했다. 보의 해체·개방 결정이 졸속으로 이뤄졌다는 지난달 감사원의 감사 결과에 따른 정부의 조치다. 4일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2021년 1월 18일 물관리위원회가 의결했던 ‘금강·영산강 보 처리 방안’을 취소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 보 처리안에는 금강의 세종보·공주보와 영산강 죽산보는 완전 또는 부분 해체하고, 금강의 백제보와 영산강의 승촌보는 상시 개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의 결정에 일부 환경단체가 ‘졸속’이라 비판하고 있지만, 강에 기대 사는 농민들은 물 걱정 없이 농사짓게 됐다며 환영하고 있다. 일부 환경단체는 지금도 녹조 발생과 관련해 ‘녹조라떼’, ‘독성 쌀’, ‘남자 정자 수 감소’ 등 공포감을 조성하며 보의 해체를 주장하고 있다.

4대강 사업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주요 하천의 본류(本流) 강바닥을 준설해 ‘물그릇’을 키우고, 제방을 쌓아 홍수를 예방하며, 보를 설치해 물을 가둬 가뭄에 대비하자는 것이다. 기후변화 시대에 대비한 선견지명(先見之明)이었다는 것이 올해 초 가뭄과 최근 극한호우 피해를 겪으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올봄 최악의 가뭄 때도 4대강 보와 가까운 지역은 피해가 크지 않았다.

4대강 사업 결과 야당이나 환경단체의 주장과 달리 10년간 하천 수질이 더 좋아졌다. 서울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4대강 사업 전후 10년간 4대강의 16개 보에 대한 수질 변화를 비교 분석했더니 13개 보에서 수질이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 사업으로 추진한 하수처리시설 덕분에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이 줄면서 수질이 좋아졌다는 분석이다. 최근에는 4대강 사업 이후 해마다 반복되던 바다의 적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4대강 보의 보다 더 과학적인 활용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수질 개선과 물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기반 사업도 신속하게 해야 한다. 지류와 지천의 정비로 녹조 발생을 줄이고, 효율적인 관개시설을 확충해 농민들이 언제든 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기후 위기의 일상화로 홍수와 가뭄 등 극한 기상이 반복되고 있어서 4대강 보의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4대강 보 정비로 기후변화 시대 물관리의 세계적 모범이 되게 하자.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