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24일 오후 1시에 시작됐다. 앞으로 30년간 135만 t의 오염수를 태평양에 흘려보낸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사태로 발생한 오염수를 12년 만에 처리를 거쳐 바다로 내보낸다. 오염수 방류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국민 불안이 크다. 많은 오염수를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방류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방류의 불가피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과 가장 가까운 대한민국 국민의 불안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클 수밖에 없다. 일본이 방류한 오염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다면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결코 소홀히 대응해서는 안 되는 문제다.

정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을 안심시킬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국민이 안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기시다 일본 총리는 자국의 방류 계획이 IAEA 조사를 계기로 국제사회의 공인을 받은 것으로 말하고 있다. 하지만 직접 피해가 우려되는 우리 국민의 대다수가 바다의 안전을 우려하고 있다.

오염수 방류는 일부 시민단체나 야당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마구잡이 식으로 흘려보내 지는 것이 아닌 것은 확실하다. 세계 각국의 관련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IAEA 조사 결과 해양 방류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적 검증 결과를 믿지 않은 괴담에 가까운 선동을 하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더욱 안 된다. 과학을 믿고 오염수 방류 이후의 변화를 면밀히 추적 관찰해야 한다.

정부가 IAEA로부터 오염수 방류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 받고, 화상회의를 정기적으로 열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긴급 또는 이상 상황 발생 때 가능한 빨리 공유 받을 연락체계 구축 등이 이뤄지게 됐다. 하지만 상시파견이 아닌 정기적인 현장 방문 검사로는 국민 불안해소에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오염수 방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만큼 국민 불안을 해소한 구체적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정부의 안전 조치와 함께 경북도와 바다를 낀 5개 시군의 특별 조치가 필요하다. 경북도가 올 연말까지 이들 시군에 방사능 검사장비 보급 계획을 세웠다니 다행한 일이다. 동해안 최대 어시장인 포항 죽도시장 같은 곳에는 소비자가 눈으로 수산물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게 장비를 보급하는 등 사전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