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면 건방진 책을 읽고 라디오를 들었다 표지
오늘의 시인 총서 앤솔로지 ‘밤이면 건방진 책을 읽고 라디오를 들었다’가 민음사에서 출간됐다.

민음사의 전통을 보여 주는 시리즈인 ‘오늘의 시인총서’ 출간 50주년을 앞두고, 시를 통해 지난 반세기의 감수성을 되새겨봄과 동시에 추억 속에 잠겨 있던 시집을 꺼내 다시 읽어 보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기획된 책이다.

오늘의 시인 총서로 시집을 출간한 6명의 시인과 내년 출간을 앞두고 있는 시인 등 모두 7명의 시 5편씩, 총 35편의 시를 수록한 시 선집이다. 제목은 이성부 시 ‘우리들의 양식’의 한 구절에서 가져왔다.

‘오늘의 시인 총서’는 민음사에서 발행하고 있는 시 선집 시리즈이다. 1974년에 출간된 김수영 시선집 ‘거대한 뿌리’가 1번이다. 어느새 5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김춘수, 김종삼, 천상병, 오규원 등 한국 현대 시사에 굳건히 자리잡은 시인들의 시를 선별한 선집인 만큼 당대는 물론 이후에도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더 낯설고 더 새로운 감각들의 출현을 기다리는 사이, 오래된 시를 낯설고 새롭게 바라보는 시선 또한 포기할 수 없는 정신임을 상기하며 ‘오늘의 시인 총서’ 앤솔로지를 선보인다.

김수영, 김춘수, 김종삼, 이성부, 강은교, 장정일을 비롯해 내년 출간을 앞둔 허연의 시에 이르기까지, 일곱 명의 시인이 보여 주는 일곱 개의 언어 속에서 시에 대한 질문을 완성해 볼 수도 있겠다.

시란 무엇일까?

시는 파격이다. 김수영 시의 파격성은 모더니즘의 본성이라 할 수 있는 파격과 결을 같이 한다.

시는 침묵한다. 김종삼의 시를 ‘보고’ 있으면 여백으로 가득한 동양화 앞에 선 것처럼 조용해진다. 그리고 이내 침묵 속에 깃든 적막한 아름다움에 온몸이 전율한다. “내용 없는 아름다움”이란 이런 것이고, 이런 것이 또한 시가 아닐까. 전부 다 알 것 같은 침묵을 여백으로 안고 있는 시. 내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아름다움이 바로 시라는 미학이 아닐까.

시는 모두의 것이다. 개인을 발견하는 것이 시라고는 하나, 개인을 초과하는 공적 존재가 필요할 때 시는 개인을 결합 시킨다.

시는 먼지이다. 강은교의 시는 존재의 바닥을 흐르는 허무의 심연을 통찰하는 허무의 주체를 발견한다. 시인은 우리의 적이 “전쟁”이나 “부자유”가 아니라고 말한다. 오히려 우리의 적은 “끊어지지 않는 희망”이거나 “매일밤 고쳐 꾸는 꿈”, 무엇보다 “아직 살아 있음”이라는 것이다.

왜 시인은 그 좋은 것들을 오히려 적이라고 할까. 인간의 실존은 언제나 허무, 공허, 의미의 세계와 싸워 지 않으면 금새 추락하고 말기 때문일 것이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