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혼슈 중부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반도에서 지난 1일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3일 현재 누적 사망자가 64명이나 되고 부상자 수도 370명에 이른다. 강진으로 쓰러진 건물이 많고, 피해 지역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끊긴 상황이어서 인명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번 지진은 일본 서부 이시카와현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무엇보다 한반도 동해와 마주 보고 있는 지역이어서 경북과 강원 지역 주민들을 바짝 긴장하게 했다. 강원 동해 묵호 해안에는 최고 85㎝ 높이의 지진해일이 관측되는 등 일본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경북도는 개편된 조직의 안전행정실이 즉각 대응에 나섰다지만 원자력발전소 등과의 안전 협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해안가 접근금지와 지진해일 대피안내문자 발송, 민방위통제소 경보단말 음성방송 등 상황을 전파하는 수준에 그쳤다. 경북 포항과 경주 등 동해안에서는 지진이 잇따라 지역민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11월 30일에는 경주에서 규모 4.0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 99차례, 3.0 이상 지진이 14차례나 발생했다.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것이다. 특히 원자력발전소가 집중돼 있는 경북 동해안이 위험하다. 지난해 11월 경주 4.0 지진은 지난해 5월의 강원 동해시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5 지진과 함께 위험 수준이 높았다. 경주 지진은 경주와 포항 등 경북뿐만 아니라 울산, 경남, 부산 등 남부지역 대부분 지역에서도 진동이 감지됐을 정도다. 특히 경주시민들에게는 7년 전 경주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인 5.8 강진(9·12지진)의 악몽을 떠올리게 했다.

지진이 잦은 경북 동해안에 국내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몰려 있고, 울진 신한울 3, 4호기 건설이 재개됐다. 또 경주에는 소형모듈원전(SMR) 연구기지가 건설되고 있는 등 경북 동해안에 원전 시설이 밀집돼 있다. 최근 한반도의 지진 빈도와 강도가 점점 잦아지며 높아지고 있다. 일본 이시카와현 지진을 계기로 경북 동해안의 지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일본 후쿠시마 비극에서 보듯 원전 재난이 국민의 희생은 물론 국가 존립마저 위협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