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각·정자 사진 50여장 수록…고요하고 넉넉한 정취 전달

한국의 누와 정허균/ 다른세상 출판

침수정(枕漱亭)을 "뜬구름 같은 명예를 버린 은자(隱者)의 즐거움"이라고 멋들어지게 표현한 사람이 있다.

허균 한국민예미술연구소 소장은 신작 '한국의 누와 정'(다른세상 펴냄)에서 침수정을추사 김정희와 승려 종진이 정자 이름의 어원이 된 '침류수석(枕流漱石)'이라는 말을 '부와 명예를 거부하고 산수에 묻혀 사는 은자의 낙'으로 사용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짙푸른 나무와 굳은 바위 사이에 자리한 정자. 주위를 둘러싼 산에 푹 감싸 안겨 있는 듯 보이기도 하고 아래로 흐르는 계곡물을 여유롭게 내려다보는 것 같기도 한 곳. 이곳이 경북 영덕 태백산 줄기의 옥계계곡 가운데 자리를 잡은 침수정(枕漱亭)이다.

2002년 '한국의 정원'으로 우리의 아름다운 정원과 그 속에 깃든 미의식을 살펴봤던 저자는 이번 책에서는 고즈넉한 산수풍경 속에 단아하게 들어선 누각과 정자를 통해 선비들의 정신을 되돌아보고 있다.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찾아 다니며 한국인의 정과 한을 사진으로 담아 온 사진작가 이갑철 씨가 '한국의 정원'에 이어 함께했다.

자연 속에 지어진 간소한 구조의 목조 건물을 '정(亭)'이라 하고 이층 구조로 된 것은 '누(樓)', 온돌방이나 사랑채 기능이 더해지면 '당(堂)', '각(閣)'이라 하는데 이는 자연과 만나 풍류를 즐기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다.

책에 수록된 50여 개의 정자와 누각은 저자가 답사한 500여 곳 가운데 "정서적 만족감과 경관 감상의 묘미를 함께 즐길 수 있었던 곳"이다. 이곳들은 자연을 벗하며 마음을 다스렸던 선인들의 지혜를 닮았다.

여름철 전남 담양의 명옥헌은 주위를 둘러싼 배롱나무 고목들이 흐드러지게 붉은 꽃을 피우면 천상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저자는 이곳에 '배롱나무 숲 속의 선계(仙界)'라는 수식 문구를 붙였다. 강원 강릉의 활래정에서는 고상하고 정갈한 사대부 명가의 분위기가 풍긴다. 손님을 맞이하는 사랑채와 정자의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가진 활래정은 손님들이 써 놓고 간 시액(詩額. 시를 새겨 건 현판)들과 정자 앞 못에서 풍겨 오는 연꽃 향기로 풍류를 한껏 뽐낸다.

둥근 기둥과 높은 기둥을 가진 경북 안동의 체화정은 조선의 문신 이민적ㆍ이민정 형제가 함께 생활했던 곳이다. 화가 김홍도가 쓴 '담락재(湛樂齋)'라는 편액(扁額) 글씨를 볼 수 있는 이 정자에는 형제의 돈독한 우애를 기리는 마음이 남아 있다.

저자는 정자와 누각에 얽힌 유래와 사연을 들려주고 자연 속에 어우러진 정취를 전한다. 그러나 이 책이 글만으로 정자의 아름다움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고요하고도 넉넉한 느낌을 담은 아름다운 사진들이야말로 이 책의 매력을 자연스럽게 드러내 준다. 고건축에 대해 아는 것이 없더라도 충분히 즐겁게 읽을 수 있다. 400쪽. 2만8천원.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