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부산시청에서 민생토론회를 가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부산을 글로벌 물류·금융·첨단 산업의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했다. 부산을 첨단 기술과 일자리, 삶의 질에서 ‘서울 메가시티’와 경쟁할 수 있는 허브도시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되면 인구 절반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과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로 국토가 2극 체제가 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산업은행 동남권 본부의 기능과 인력을 보강해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 기업에 금융지원을 대폭 확대하겠다”며 “산업은행법 개정 이전이라도 실질적인 이전 효과가 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민생토론은 전국을 순회한다지만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서 10회 가까이 집중적으로 연 데 이어 지방에서 처음으로 부산서 열었다. 이렇다 보니 민생토론 주제도 수도권과 부산의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다. 당초 대통령실은 주택, 일자리, 중소기업, 국민 안전, 돌봄, 교통, 의료 개혁, 미디어 정책, 저출산 대책, 에너지 정책 등을 주제로 민생토론회가 10회 정도 진행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우연찮게도 지금까지 대통령이 민생토론을 가진 지역이 총선에서 여당이 상대적으로 열세 지역으로 분류되는 수도권과 낙동강 밸트 지역이다 보니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의 선거 개입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윤석열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지방의 소외 지역은 미래 비전을 찾기 어려운 암담한 현실이다. 그 대표적인 지역이 대구·경북(TK)지역이다. 최근 홍준표 대구시장이 한 인터뷰에서 대구를 서울, 부산에 이어 3대 도시로 만들기 위해 온 힘을 쏟겠다고 했다. 신공항 건설과 달빛철도 건설로 부산과 경쟁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TK는 정부 정책에서 소외된 지역이다. 초광역 수도권과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경남(PK) 사이에 놓인 ‘낀 TK’라 할 수밖에 없는 지경이다. 정부가 경기도에 2047년까지 622조 원이 투자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계획을 밝혔고, 총예산 134조가 투입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 계획도 발표했다. 그러고는 부산을 수도권에 견줄만한 도시로 만들겠다고 한다. 정부는 소멸 위기의 ‘낀 TK’에 대한 비전도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