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리콜 회수율 6%…홍보부족 지적

HP가 지난해부터 전 세계적으로 노트북 배터리 리콜을 진행하고 있지만 국내 리콜 성적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HP는 지난 5월말부터 추가 모델을 대상으로 2차 리콜을 하고 있지만 수동적으로 홍보에 나서 업계의 빈축을 사고 있다.

27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HP는 지난해 5월부터 화재 위험이 있는 21개 모델 노트북 배터리에 대해 리콜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도 해당 모델 제품 3천대가량이 판매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모델은 과열에 따른 화재 위험으로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에는 수십 건의 과열 및 과열로 인한 상처 신고가 접수되기도 했고, 중국에서는 소비자들로부터 집단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시가 HP로 제출받은 지난 1년간 리콜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회수율이 국내에서 판매된 수량의 6%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했다. 사실상 리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셈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제품을 제외하고는 공산품 리콜 시 회수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특히 회수율이 저조한 경우"라고 말했다.

회수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 한국HP 임원은 "고객의 속내를 잘 모르겠다"면서 "크게 위험성이 높다고 보지 않을 수도 있고, 노트북 같은 경우 전기코드를 꽂아서 쓰는 경향 때문에 배터리에 대한 인식도가 낮을 수 있다"고 소비자의 탓으로 돌렸다.

HP는 지난 5월부터 화재 위험성이 있는 배터리 6개 모델을 추가해 2차 리콜을 벌이고 있으나, 현재 진행 상황으로는 회수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년간 리콜의 취지를 살릴 수 없는 성적표를 받았음에도 2차 리콜을 진행하면서 소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HP는 행정기관이 제시하는 기본적인 기준에 맞춰 홍보를 진행할 뿐, 리콜 홍보와 관련한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는 등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모양새다.

한국HP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지시가 내려온 대로 2개 언론 매체에 지면 광고를 냈다"면서 "해외 본사에서는 보도자료를 냈지만, 국내에서는 내지 않았고, 당국에서 하라는 수준에서 광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리콜의 취지는 문제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다가 소비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업체가 자발적으로 나서는 것"이라며 "회사 이미지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지만, 고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HP 노트북 고객이 리콜 대상임을 확인하려면 HP 제품교체 및 리콜 페이지(bpr.hpordercenter.coM14.aspx)에 접속해 배터리에 찍힌 바코드 번호를 확인하면 된다. 연합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