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152, 한나라 121, 민노 10석

17대 총선 개표결과 사실상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수도권과 호남ㆍ충청 지역에서의 압승을 토대로 과반 1당을 거머쥐었다.
이에 따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사실상 '정치적 재신임'을 받게 됐으며 지난 12대 국회 임기가 끝난지 16년만에 처음으로 '여대야소(與大野小)' 정국이열리게 됐다.
한나라당은 1당 자리를 내놓았지만 영남지역을 대부분 휩쓸며 당초 목표로 내세웠던 개헌저지 의석(100석)을 초과해 열린우리당과 명실상부한 '양당구도'를 형성하면서 원내 견제세력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됐다.
또한 민주노동당이 사상 처음 실시된 '1인2표' 정당명부 투표에서 두자릿수 지지에 힘입어 10석의 의석을 확보하며 진보정당으로는 해방이후 처음으로 원내진출에 성공하는 동시에 3당의 위치에 올라섰다.
그러나 원내 제2당이었던 민주당은 분당 후유증과 탄핵안 '한ㆍ민공조'의 역풍을 이기지 못하고 9명만 당선되는데 그쳐 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고, 자민련도충청권 4개 지역에서만 당선됐을 뿐 비례대표 1번인 김종필(金鍾泌) 총재마저 낙선해 양당은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됐다.
이에 따라 민주ㆍ자민 의원들이 개인 성향에 따라 양당구도에 흡수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수도권과 호남ㆍ충청에서 강세를 보이고, 한나라당이 영남권을 휩쓸어 동서 지역대립 구도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으나, 우리당이 부산과 경남ㆍ울산 등지에서 4명을 당선시키면서 교두보를 확보했고, 호남도 1당 독식이 없어지면서 지역구도 완화 가능성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총선 지역구 개표가 대부분 완료된 16일 새벽 2시30분 현재 전국 243개 선거구가운데 열린우리당은 129곳, 한나라당 100곳, 민주당 5곳, 자민련 4곳, 민주노동당이 2곳, 국민통합 21 1곳, 무소속 2곳에서 당선이 확실시 된다.
비례대표 의석을 가르는 정당별 투표에서는 97%가 개표된 가운데 우리당이 38.3%, 한나라 35.8%, 민노당 13.1%, 민주당 7.1% 를 나타내고 있어 각각 23, 21, 8,4석이 배분될 것으로 보이며 자민련은 3%에 미달되는 2.8%를 보이고 있어 비례대표의석 확보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152석, 한나라당 121석, 민주노동당 10석, 민주당 9석,자민련 4석, 국민통합 21 1석, 무소속 2석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충남 당진에서는 자민련 김낙성 후보가 열린우리당 박기억 후보를13표차로 이겼지만 박 후보측 요청으로 재검표에 들어갔고, 서대문갑 등 일부 박빙 선거구에서 후보들간 신경전으로 개표가 중단되기도 했다.
지난 3월12일 노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될 당시 의석분포는 한나라당145석, 민주당 62석, 열린우리당 47석, 자민련 10석이었다.
열린우리당이 1당과 함께 원내 과반 의석을 확보함에 따라 지난달 11일 '총선과재신임 연계'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힌 바 있는 노 대통령은 정치적재신임을받게됐으며 내달 중순께로 예정돼 있는 헌재 결정전 정치적 해결이 모색될지 주목된다.
이와관련, 정동영(鄭東泳) 열린우리당 의장은 "이번 선거에서 노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재신임을 받은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면서 탄핵문제의 정치적 해법모색을 위한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와의 양자회동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여야 중진들이 대거 낙선한 반면, 연합뉴스 자체 집계결과17대 의원 평균 나이는 51세, 초선 의원이 200여명에 달하는 등 물갈이가 확연히 이뤄진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회의 위상과 역할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 열린우리당의 과반 확보로 입법 과정 등에서도 개혁 드라이브가 강하게 걸릴전망이다.
한편 중앙선관위가 밝힌 잠정 투표율은 60.0%로 지난 16대 총선투표율57.2%보다 높아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