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의 공직사회는 디지털 기술에 의한 세계화 물결의 영향으로 20세기와 다를 것으로 전문가들이 진단하고 있다. 상하 위계질서를 토대로한 ‘피라미드 조직’에서 조직원 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수평관계를 중시하는 ‘네트워크 조직’으로의 변화가 예견된다.
그런 변화된 사회적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무원 스스로가 새로운 자질을 겸비할 것이 요구된다. 20세기의 바람직한 공직자상은 법률의 해석이나 운용에 능숙하고 상부지시에 성실히 따르기만 하면 됐다.‘서기형’이나 ‘서무형’자질만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그런‘단순 노무형’은 갈수록 설자리를 잃을 것이다. 단순 보조형 사무는 점차 외부위탁으로 넘길 것이며, 또한 인사권자가 단순 업무에 익숙한 사람을 간부직으로 승진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지자체들간의 경쟁적 평가가 따르고, 정책 차이성에 따른 결과는 곧 시민들의 평가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물론 자치단체도 단순사무형 보다는 앞으로는 새로운 정책창조, 집행, 조정 등의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한다. 특히 지자체는 더욱 그렇다. 지방 공직자들이 오랫동안 정책 창조보다 정책 순응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시책’을 선호하고‘정책’이라는 언어에 대해 다소 냉소적이다. 정책창조나 정책연구는 중앙정부의 관료 혹은 학자들이나 쓰는 고유 언어라고까지 생각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21세기는‘분권시대’라 규정할 만큼 지자체의 정책 자율성은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들’만의 것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가 아니다. 지방공무원들도 서둘러 ‘정책창출을 위한 인프라’를 굳건히 갖춰야 할 시점이다.
포항시의 시정연구팀이 연구사례 발표와 토론회를 개최한 것은 그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시도라 여겨진다. 보다 좋은 정책창출 인프라는 중앙이나 지방의 소수엘리트 공직자만이 아닌 지방공무원들 모두가 겸비해야만 하는 것으로 명심할 때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