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신종플루 사태 때도 외국인 감염 의심자 시설에 격리

PYH2015053101700001300.jpg
▲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메르스 확산 방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문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 1주일간이 메르스 확산이냐 진정이냐의 기로로 판단하고 있다"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3차 감염을 통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전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
정부가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들을 느슨하게 관리해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 여론을 사실상 수용하고 밀접 접촉자 가운데 고위험자를 시설 격리 조치하기로 31일 결정했다.

메르스 사태로 인한 국민 불안을 잠재우고 혹시나 의심 증상 신고 지연으로 3차 감염이 발생해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을 고려해 정부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강력한 감염병 예방 정책을 택한 것이다.

보건복지부 권준욱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이날 오전에 열린 브리핑에서 "(자가 격리 대상자를) 수시로 유선모니터링을 해 발열 여부를 확인하지만 국민이 불안해하시는 것처럼 밀접한 접촉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설 격리가)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가격리를 통해 메르스 환자 밀접 접촉자를 제대로 관리하고 있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한 발 벗어난 태도다.

그동안 복지부는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이라도 발열 등의 의심 증상이 없으면 출근이나 야외 활동을 자제시키고 자택에 머물며 당국의 모니터링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밀접 접촉자가 스스로 의심 증상을 놓칠 수도 있다는 등의 주장이 제기되자 뒤늦게 밀접 접촉자가 스스로 원하면 의심 증상이 없어도 격리 시설을 이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국민의 불안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정부가 감염병 환자가 아닌 의심 증상자, 고위험군을 별도의 시설에 격리하는 일은 흔하지 않다.

2009년 신종 플루 사태 당시 외국인 영어 강사가 신종 플루 확진 판정을 받자 복지부는 이들과 동일 시설에 거주하면서 교육받은 외국인들을 시설에 격리·관찰한 바 있다.

현재 홍콩 보건당국도 29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한국인 남성 K씨(44)와 접촉했을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 가운데 현재 홍콩에 머무는 사이쿵(西貢)의 맥리호스부인(麥理浩夫人) 휴양촌에 격리한 채 검진을 하고 있다.

복지부는 일단 현재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해 자가 격리된 사람 가운데 50세 이상의 고연령자, 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시설 격리에 들어갈 계획이다.

정확한 시설 격리 대상자 규모를 예측하기 힘들지만 밀접 접촉자 대상자 중에 약 35% 내외가 될 것으로 복지부는 예상하고 있다.

해당자들은 전화로 본인 의사를 확인한 뒤 최대한 설득해 보건소 등의 구급차를 활용에 격리 시설 2곳으로 이동한다.

권 국장은 "불필요한 불안을 키우지 않기 위해 격리 시설의 성격과 이름은 공개하지 않는다"며 "의료진이 수시로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곳이고 오늘부터 실질적으로 이동이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시설 내 격리자끼리 감염될 가능성에 대해 권 국장은 "의료진이 고위험 대상자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 이상 증상 발생시 바로 격리 입원·진단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