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암 팔작지붕 기왓장 너머 극락정토 같은 산이 아스라하다. 곽성일 기자

영축산 백운암 가는 길에
가을이 깊게 내려앉았다.
통도사를 지나 극락암에
다다랐다.
경봉 스님이 입적하실 때까지
거처하셨던 삼소굴은
여전히 소박한 모습
그대로였다.
세 사람이 웃는다는 삼소굴
유교 불교 도교의 근본은
한곳이라는 가르침이다.
붓다가 살던 인도의 산 지명을 딴
영축산은
떠나가는 가을에
취하게 하는 낙엽 내음이
가득했다.
처음 가보는 혼자의 길
호젓하기보다 설레임과
막막함이 함께했다.
끝없이 이어지는 돌계단 길은
한 걸음 한 걸음이 번뇌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 이 순간에
집중하라는 죽비였다.
돌계단 위에 내려앉은
낙엽과 가쁜 숨을 몰아쉬는
내가 하나가 되어갈 때쯤
백운암이 보였다.
통도사 암자 중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백운암
만공스님이 깨달음을 얻었던
수행도량답게 영축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었다.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온다.
계절은 끊임없이 오고 또 가지만
나는 늘 그대로임을 알아챈다.
지켜보는 자는 변하지 않는다.
그저 흐름을 관망할 따름이다.
사바세계를 무대로 한바탕
연극을 멋지게 해보라는
경봉 스님의 일갈이
가슴에 비수처럼 꽂힌다.

백운암으로 가는 길이 열려 있다.
극락암 고목 감나무는 한폭의 동양화이다.
경봉 스님이 입적하실 때까지 거처했던 삼소굴.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