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특화전략 국회서 논의…R&D 기반 활용한 국가·지방 공동전략 가동
“지금이 도약의 창”…해운정보센터 설립·물류망 확충·횡단대교 조기 건설 강조
세계 해양 물류 질서가 재편되는 ‘북극항로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포항시가 국회에서 전략 논의를 주도했다.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전진 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지방 공동전략이 본격 가동됐다.
포항시는 25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특화전략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세계 해양 물류 시스템의 대전환기에 맞춰 영일만항의 북극항로 대응 전략과 특화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포럼은 김정재·정희용·이상휘 국회의원과 포항시, 경상북도가 공동 주최했다. 동북아시아지방정부연합, 포항영일신항만(주), 포스코플로우,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에너지경제연구원, 포스텍 등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포항의 산업 기반을 활용한 북극항로 전략이 폭넓게 논의됐다.
기조연설에서 홍현익 전 국립외교원장은 포항의 R&D 인프라와 지리적 이점을 근거로 ‘북극 해운정보센터’의 포항 설립을 제안했다. 이어 김학소 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은 북극 연안국과의 전략적 협력 확대, 항만–내륙 물류망 확충, 영일만횡단대교 조기 건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영두 한국해양진흥공사 북극항로종합지원센터장은 정부의 북극 항로 상업화 지원체계를 소개하며, 영일만항이 향후 북극항로 실증·운항 거점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지금이 영일만항 도약의 창(窓)”이라는 의견이 이어졌으며, 북극항로 시장 성장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는 점에서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의 강력한 산업·R&D 기반을 바탕으로 영일만항이 북극항로 시대를 이끌 특화 항만이 되도록 실질적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북극항로 활성화 위원회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고, ‘영일만항 특화전략 수립 용역’을 내년 하반기 완료 목표로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