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취 안 된 투표용지도 나와
북구선관위 "기권 처리 후 보관했고, 수사의뢰 검토"
속보 = 포항시 남구 선거개표소에서 봉인지 탈부착 흔적 논란(경북일보 2024년 4월 10일 인터넷 보도)에 이어 포항시 북구 선거개표소에서도 21대 총선 사전투표지가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현재 포항시북구선관위 측은 문제 투표용지를 보관한 후 향후 수사기관에 수사의뢰를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절취가 안 된 또 다른 표는 유효표 처리됐다.
15일 포항시북구선관위 등에 따르면 포항시 북구 지역은 지난 10일 선거개표소인 포항시 북구 양덕 한마음체육관에서 개표를 진행했다.
문제는 개표 과정에서 같은 날 오후 9시 10분께 심사·집계부에서 개표사무원이 선 채로 ‘이 용지 (뭐지)?’를 외치면서 QR코드가 찍힌 21대 총선 당시 사전투표지가 발견된 것.
이에 한 선관위 직원은 QR코드가 있는 지역구의원 사전투표지는 지난 선거 때 투표지인데 무언가 잘못됐고 봉인해서 무효처리하겠다며 회수했다.
지난 21대 총선에선 QR코드(2차원 바코드)가 사용됐지만, 이번 22대 총선은 1차원 바코드가 사용됐기 때문에 확연히 투표용지가 다르다.
특히 투표용지에 기재된 후보 역시 다르기 때문에 문제 소지가 불거진 셈이다.
일각에선 사전투표함의 봉인과 보관 여부 부실이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우선 선관위 측은 해당 문제 투표용지의 존재에 대해 “맞다”며 인정했다.
문제 투표용지는 21대 총선 당시 우창동 사전투표소 출처였으나 22대 총선에선 장량동 사전투표소 관내 사전투표함에서 나왔다고 파악했다.
문제 표는 포항시북구선관위원장 봉인 처리 후 보관하고 있으며 추후 논의해 수사기관 수사의뢰를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문제 표 말고도 절취가 되지 않은 또 다른 표에 대해선 규정상 ‘유효표’ 처리를 했다고 밝혔다. 문제가 제기된 표는 법상 해당 선거 당선자들 임기까지가 보관기한이 된다.
선관위 측은 쟁송 등이 없으면 보증기간 단축을 해 위원회 의결에 따라 폐기하겠다는 예정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에 발견된 제21대 총선 지역구 사전투표지의 경로에 대해선 조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며 “현재로는 한 유권자가 제21대 총선 때 용지를 얻은 뒤 가지고 있다가 이번 제22대 총선 때 투표함에 넣지 않았느냐는 추정을 하고 있다. 수사의뢰를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