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연합 "지자체 예방 조치 필요"
대구 지역 자살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아 지자체 차원의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 우리복지시민연합(이하 복지연합)에 따르면, 지역 내 자살 사망자는 2017년부터 6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은 27.0명으로 전국 평균(25.2명)보다 높다.
특별·광역시 가운데서는 부산(27.3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는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대구 자살자 수는 2021년 628명, 2022년 638명, 지난해 647명(잠정치)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에는 166명으로 집계됐다.
자살률도 2020년 26.1명에서 2021년 26.3명, 2022년 27.0명으로 3년 동안 증가했다.
복지연합은 일반적인 사망보다 극심한 심리·사회적 고통을 경험하고, 부정적 파급효과를 낳는 자살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 적극적인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의 주 사망 원인이 자살(10∼30대 1위, 40∼50대 2위)인 점을 근거로,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복지연합은 대구시의 자살 예방 예산이 부족하다면서 ‘신천 프러포즈 존 설치’ 등 토건 예산을 자살 예방 예산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시민 생명이 위급한데 프러포즈 존을 만든다며 논쟁할 시간조차 없다. 지난해 잠정치로만 하루에 1.8명의 시민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라면서 지역 위기이자 국가 위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대구시와 구·군에 시민의 생명을 살리는 데 전력을 다하라”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