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호미곶 흑구문학상
숫자 속에 사람이 있다
투구를 쓰고 욕받이가 되었다 벽 뒤에 숨어 회색 정장 입은 당신을 위해
달리는 경주마
눈으로 보이는 그를 채워야 하고 외면하기 어려운
통장에 찍히는 그가 줄어든다면
납작한 숫자를 높이기 위해 달라지는 나의 페르소나
수치 속에 웃음과 눈물로 굽어진 이야기들이 매몰되어 버리고 끝내 이름을 잃었다
유모 군은 철근 내리는 작업 중 추락 이모 군은 엘리베이터 수리 중 승강로에 끼여 사망
A 군 ㄱ 군 옆에 사고의 언어는 괄호
신문 한 귀퉁이에 낯선 이방인이 스치고 퇴근하지 못하는 숫자는 쌓여 가고
실적만으로 서열화되는 세상
부조리가 유언장을 써 내려간다
당신이 살고 있는 세상 외에는 모르고 살아가겠지
낮은 지점에 있는 사람을 갈아 넣는 게 당연해지는,
너를 위해서라는 말은 테러 감각이 없는 폭력들이 쌓여 심장을 잠식하고
나직한 목소리를 내기도 전에 떨어진 꽃잎들
상실은 자국을 남기고 상한 몸들이 계속해서 재생된다
눈빛으로, 허공에 던진 말로 시그널을 보냈다
맨발인 발이 한 짝 밖에 없는 신발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발화되지 않았던 문장의 표피가 날카롭다
어떤 품사로도 표현되지 않는 감정이 지배하는 숫자의 늪
한 줌의 빛이 필요한 세상 우린 쓸모없는 사람들이 아니에요
봄은 오는데
보고 싶다
다음이 오지 않는 세상
△수상소감
“몇 안 남은 나뭇잎이 가을을 떠나기 싫어 가지에 매달려 있습니다. 어머니의 말라버린 젖가슴 같은 홍시가 집 앞 감나무에서 마지막 남은 젖을 까치에게 모두 주고 있습니다.
시를 쓰면서 풍경 너머에 또 다른 풍경이 없나 사색했던 나날들이 쌓여 가다 보니 좋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시를 쓰면서 시인의 역할이 무언가 늘 고민해 봅니다. 힘들고 어려운 우리의 이웃들에게 직접 따뜻한 커피를 건네 줄 수는 없지만, 마음이 따뜻해질 수 있는 한 줄의 시라도 건넬 수 있다면 그것으로써 우리 사회에 선한 역할을 하지 않나 스스로 자위해 봅니다.
아직도 온갖 어려운 노동환경에서 수고하시는 인턴사원, 임시직 근로자, 계약직 근로자에게 이 시를 바칩니다. 여러분 고맙습니다.”
△약력
-2023년 국민일보 신춘문예
-2024년 오륙도신문 신춘문예
-2023년 직지콘텐츠 최우수상
-제3회 한용운 문학상 최우수상
-제4회 DMZ문학상 차상 외 다수
-제1회 디지털 문학상 수상(수필)
-제44회 근로자문학제 수상(수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