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300여명·부상 2700여명
자폭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北 포로 한국행 입장표명 없어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오전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연합
국가정보원은 13일 우크라이나전에 파병, 북한군 병사들의 사상자가 3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국회에서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가 개최한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이 의원이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고,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또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 및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과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결과적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원 보고는 전사자 소지 메모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 이전에 자폭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과 함께 병사들이 노동당 입당 및 사면을 기대하고 있는 내용도 발견됐다

최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크라이나 군에 붙잡힐 위기에 처하자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서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이 의원은 “그 포로가 한국으로 가겠다는 입장표명을 한 것은 없다”며 “국정원은 북한군도 헌법적 가치를 봤을 때 우리나라 국민에 포함되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에 입각해서 귀순 요청을 하면 우크라이나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당분간 대(對)러시아 추가 무기 지원 및 파병을 통한 군사 경제적 반대 급부 확보에 매진하면서 올해 상반기 김정은의 방러를 저울질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6일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과 관련해서는 “극초음속 활공체의 비행 성능 보완 후 재검증 시도가 목적이고, 최강경 대미대응 전략의 첫 번째 행보로서 역내 미군 견제 자산을 과시할 목적도 있었다”고 국정원은 분석했다.



김정모 기자
김정모 기자 kjm@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으로 대통령실, 국회, 정당, 경제계, 헌법재판소, 중앙부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