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재가 산후조리 이용비용. 보건복지부.

지난해 산모 85.5%가 선택한 산후조리원에서 약 2주간 머무는 비용이 286만 원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2018년 첫 조사 실시 이후 세 번째다.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 30일부터 10월 12일까지 2023년 출산한 산모 3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많이 하는 장소(중복 응답 가능)는 산후조리원(85.5%)과 본인 집(84.2%)으로 나타났고, 친정(11.2%), 시가(1.0%)가 뒤를 이었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는 산후조리원이 70.9%로 가장 높았고, 본인 집은 19.3%, 친정은 3.6%로 조사됐다.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시가·산후조리원이 3.9점으로 가장 높았다.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30.7일이며, 본인 집(22.3일)이 기간이 가장 길었다. 친정 20.3일, 시가 19.8일, 산후조리원 12.6일 순이었다. 2021년과 비교하면 산후조리원에서의 기간은 12.3일에서 12.6일로 소폭 증가했다.

산후조리 기간 중 산후조리원에서는 평균 286만5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220만7000원에서 시작해 2021년 243만1000원, 2024년 286만5000원으로 계속 증가했다. 인건비와 임대료 등 전반적인 물가 상승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집(본인·친정·시가)에서 하는 산후조리에는 평균 125만5000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95만8000원에서 2021년 81만5000원으로 줄었다가 2024년 125만5000원으로 대폭 늘었다. 2021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기준 확대(중위소득 120% 이하→150% 이하)에 따른 서비스 이용 증가 영향을 받아서다.

산후조리 동안 불편했던 증상 중에 수면 부족(67.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상처 부위 통증과 유두 통증, 우울감 순이었다.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산모는 68.5%, 경험 기간은 분만 후 평균 187.5일, 실제 산후우울증 진단을 받은 경우는 6.8%로 출산 이후 산모 대상 정신 건광 관리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는 배우자가 57.8%로 가장 높았고, 도움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23.8%로 조사됐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한 정부 정책으로 산후조리 경비지원(60.1%)을 가장 많이 원했고,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37.4%),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22.9%) 등을 꼽았다.

김상희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실태조사를 통해 변화된 산후조리 현황을 더불어 산후조리 비용 지원뿐 아니라 배우자의 육아휴직 활성화, 산모·배우자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와 같은 제도적 뒷받침에 대한 정책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면서 “산모들의 정책 욕구를 충분히 검토해 필요한 정책을 개발·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