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TK 득표율 상승 불구, 안동·영천도 기대 이하…주요 도시 김문수 지지율 평균 못 미쳐
보수의 심장으로 불려온 경북·대구는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고향 안동을 방문한 데 이어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되고 나서도 두 차례나 경북지역을 방문했다.
특히 지난 20대 대선 당시 경북 지역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을 보였던 대구 군위군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의 첫 선거 운동 지역이 되는 등 보수 텃밭에 공을 들였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역시 대통령 후보로 결정된 뒤 곧바로 포항을 비롯한 경북지역을 방문한 데 이어 공식선거 운동기간에도 두 차례나 방문해 보수 표심 결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 결과는 20대 대통령 선거 결과와 비교할 때 헛심공방을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투표율의 경우 지난 20대 선거 당시 경북 78.1%·대구78.7%를 기록했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각각 78.9%와 80.2%를 기록, 각각 1.9%p와1.5%p 상승했다.
경북 지역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곳은 82.8%를 기록한 성주군이었으며, 청송군(82.7%)·영양군(82.0%)·예천군(81.8%)·의성군(81.5%)·영덕군·봉화군(각 80.3%)·상주시(80.1%)가 80%를 넘는 투표율을 보였다.
반면 최저 투표율을 기록한 곳은 칠곡군은 75.5%에 그쳤으며, 구미시(76.8%)·포항시 남구(77.8%)가 뒤를 이었다.
대구 지역은 군위군이 82.9%로 가장 높았고, 남구가 76.9%로 가장 낮았다.
대구 지역에서 투표율 80%를 넘지 못한 곳은 남구에 이어 서구(77.7%)·달성군(79.2%) 세 지역이었다.
경북·대구 지역 투표율이 지난 20대 선거보다 평균1.7%p올랐지만 투표율이 하락한 곳도 적지 않았다.
경북은 상주시(80.4%→80.1%)·예천군(82.1%→81.8%)·의성군(82.8%→81.5%)·영양군(82.6%→82.0%)·영덕군(80.4%→80.3%)·봉화군(80.9%→80.3%) 등 6곳이 지난 선거 투표율을 밑돌았다.
대구는 군위군만 83.7%에서 82.9%로 떨어졌다.
또 광역 선거구별 평균 투표율을 밑도는 시·군·구도 많았다.
경북(평균 투표율 78.9%)은 포항시 남구(77.1%)·경산시(78.3%)·칠곡군(75.5%) 등 3곳, 대구(평균투표율 80.2%)도 남구(76.9%)·서구(77.7%)·달성군(79.2%) 등 3곳이 평균 투표율을 밑돌았다.
경북 안동 출신인 이재명 대통령과 영천 출신인 김문수 후보는 고향에서 높은 득표율을 올렸지만 고향 효과는 보지 못한 것을 나타났다.
경북 지역 평균 득표율 25.52%를 기록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0대 대선 당시 23.80%와 대비할 때 1.72%p가 상승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선거 경북지역 득표율 중 고향인 안동에서 31.28%를 기록하며, 유일한 30%대 득표율이 나왔다.
그러나 안동 지역은 지난 20대 선거 당시에도 29.13%가 이재명 후보에게 표를 줬던 것과 비교할 때 안동 지역 상승률은 2.03%p에 불과해 경북 평균득표율 상승률(1.72%p)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일한 고향효과라면 안동시 지역 김문수 후보 득표율이 61.27%로 가장 낮았다는 것이다.
이는 김문수 후보 역시 마찬가지였다.
김문수 후보는 고향인 영천에서 74.16%의 득표율을 기록해 의성(77.18%)·고령(75.74%)·청도(74.93%)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특히 영천은 지난 선거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76.26%가 표를 줬던 것을 감안하면, 약 2.10%가 이탈한 셈이다.
대구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의 득표율이 23.22%로, 지난 선거 21.60%대비 1.62%p 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경북 23개 시군구 선거구와 대구 9개 선거구 등 모두 32개 선거구에서 모두 지난 선거 대비 득표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대구 군위군(14.84%)·경북 영덕군(18.10%)·의성군(18.19)·고령군(18.80%)·성주군(19.08%)·대구 서구(19.19%) 등 6곳은 득표율이 20%를 넘지 못했다.
김문수 후보는 경북 지역에서 평균 득표율 66.87%를 기록했으나 안동시(61.27%)·구미시(62.06%)·포항시(남구 64.70%·북구 65.08%)·울릉군(65.38%)·경주(65.72%)·영주시(65.85%)·칠곡군(66.06%)·예천군(66.38%)·경산시(66.68%) 등 9개 시군 10개 선거구에서 평균 득표율을 밑돌았다.
특히 구미와 포항·경주·경산·안동 등 경북을 대표하는 주요 도시 대부분이 평균 득표율을 밑돌아 전체 득표율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