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지위 없으면 콘텐츠 비용 수십 배…공교육 지속 위해 필요”
"중단 없는 공교육 혁신 위해 4년 더 노력하고 싶다…3선 의지 드러내
강 교육감은 22일 남구 대구아트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릴레이 정책토론회 자리에서 “AIDT 전환 속도가 빨랐던 부분이 있어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교육계 디지털 대전환(DX) 측면에서는 AI 교육을 유·초등부터 경험하게 해 깊은 사고와 통찰을 어릴 때부터 키우는 게 굉장히 필요하다”라고 역설했다.
그는 “교사 1명이 맞춤형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보면, AI 교과서라는 도구가 현재로서는 가장 적정한 실질적 대안이라고 제 나름대로 판단하고 있다”라며 “DX를 하고자 하지만, 어떻게 할지 방법이 없는 것은 미래 아이들에 대한 적절한 대책은 아니다. 새 정부라도 이 부분에 대한 깊은 고민과 대책 마련은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AI 교과서가 교과서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면 비용 문제에서도 강점을 지닌다. 강 교육감은 “현재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이고, 고등학교는 무상교육인데, 무상에 대해서는 교과서 지원을 의무적으로 하게 돼 있다”라며 “AI 교과서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또 “교과서 지위가 박탈되면 학습자료의 모든 콘텐츠 비용이 지금보다 수십 배 높아진다”라며 “많은 지적 재산권을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교과서 지위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3선’을 향한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중단 없는 대구 교육을 위해 멈추지 않는 공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싶다”라고 했다. 내년 지방선거까지 8년 동안 교육감으로 활동하면서 다하지 못한 일들을 더욱 살펴 분발하겠다는 각오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