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효성하이드로젠, 150억 투입해 남부권 수소 상용차 충전 기반 마련
전국적 인프라 부족 속 정부 정책 변화 맞물려 수소경제 미래 시험대에 올라
경북도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수소 상용차 충전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다. 2일 경산시 자인면 계림리에서 열린 ‘경산 계림 액화수소충전소’ 준공식은 단순한 시설 개소를 넘어 친환경 교통체계 전환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의지를 상징하는 자리다.
효성하이드로젠㈜이 참여한 이번 사업은 국비와 민간자본을 합쳐 150억 원이 투입된 프로젝트다. 오는 10월 정식 운영에 돌입하면 하루 150대 이상의 수소버스를 충전할 수 있어 경북 남부권과 대구권의 수소차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에는 수소 산업계와 정부·지자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윤종현 효성하이드로젠 대표는 “계림 액화수소충전소는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철식 경북도의회 의원은 “민관 협력의 성과가 가시화됐다”며 제도적 지원을 약속했고 대구지방환경청은 대기환경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 차원에서 정부 차원의 지원을 다짐했다.
이번 준공은 경북도의 수소 인프라 전략과 맞물려 있다.
현재 경북은 성주휴게소를 포함해 포항·경주·구미 등지에서 13곳의 수소충전소를 운영 중이며 포항과 울진, 경산 등 5곳을 추가 건립 중이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수소 인프라는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환경부 집계에 따르면 전국 수소충전소는 229곳에 불과해 9만여 곳에 달하는 전기차 충전소와는 비교조차 어렵다. 전기차 등록 대수가 77만 대를 넘긴 반면 수소차는 보급 속도가 더딘 이유다.
전문가들은 “수소차 확산의 관건은 인프라”라며 “충전소 확대 없이는 장기적 시장 안착이 힘들다”고 지적한다.
정부 정책의 변화도 수소차 성장 곡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소차는 문재인 정부 시절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핵심 축으로 주목받았다. 문 전 대통령이 현대차 넥쏘를 시승하고 관용차로 채택하면서 수소차 보급 확산 정책이 힘을 얻었다. 당시 정부는 충전소 설치를 적극 지원하며 수소경제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지원은 크게 축소됐다. 수소차 산업에 대한 정책적 신뢰가 흔들리면서 민간 수요 역시 위축된 것이다.
반면 이재명 정부는 문재인 정부와 유사하게 친환경·재생에너지 중심 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기회로 보고 규제 완화와 정부 지원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다. 경북도 역시 정부 기조에 발맞춰 수소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경산 충전소 준공은 단순한 지역 사업을 넘어 이 같은 정책 변화의 흐름 속에서 의미를 갖는다.
수소차의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전기차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고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도 여전하다. 하지만 수소차가 갖는 친환경성과 장거리 주행, 대형 상용차 분야에서의 경쟁력은 무시하기 어렵다. 경북도의 이번 행보는 인프라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고 수소차 보급 확대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정책적 뒷받침과 민관 협력이 이어질 때 수소차는 전기차 일변도의 친환경차 시장에서 의미 있는 축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산 계림 액화수소충전소 준공은 단순한 시설 확충이 아니라 정부 정책 변화 속에서 수소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시험하는 분기점이라 할 수 있다”며 “수소경제의 성패는 결국 충전 인프라에 달려 있다. 경북도가 보여준 이번 움직임은 지역 차원을 넘어 국가 차원의 수소차 미래 전략에도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