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원대수 1만1000대→6000대로 줄어…포항·울진 수소벨트·대구 부품업계 ‘투자 차질’ 긴장

▲ 수소자동차 자료사진.경북일보DB
▲ 수소자동차 자료사진.경북일보DB

정부가 2025년도 수소차 보조금 예산을 1,450억 원 대폭 삭감하기로 하면서, 수소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키워온 경북과 대구 지역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특히 포항·울진의 수소클러스터, 대구의 수소차 부품 생태계 등이 수요 위축과 투자 차질, 생태계 둔화로 이어지는 연쇄 타격에 직면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환경부는 지난달 말, 수소차 구매 보조금 지원 대상을 연간 1만1000대에서 내년 6000대로 절반 가까이 줄이는 예산안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내년 수소차 보급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소차를 중심으로 산업 전환을 준비해온 지역 산업계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경북은 포항·울진을 중심으로 연료전지·그린수소 생산·부품 산업을 연계한 수소산업벨트 조성을 추진해왔다.

포항은 수소 연료전지 실증 및 부품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고, 울진은 원전·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 수소 생산지로 주목받고 있다.

대구 역시 수소차 부품 기업이 다수 입주해 있는 가운데, 수소차 보급과 충전소 구축에 시 예산을 투입해왔다. 그러나 정부가 보급 대수를 줄이면서 부품 기업 매출 감소, 충전소 운영난 심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차 누적 620만 대, 연료전지 15GW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2025년 8월 기준 수소차 보급은 4만5000대, 연료전지는 1GW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업계는 이러한 상황에서 보조금부터 줄이는 것은 정부가 사실상 수소 산업에서 발을 빼려는 신호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지역 에너지 관계자는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들여 기반을 다졌는데, 수요가 꺾이면 모든 것이 도미노처럼 무너진다”고 말했다.

포항은 포항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연료전지·수소저장소재 실증을 진행 중이며, 울진은 신한울 원전 전력과 연계한 수전해 수소 생산, 동해안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 수소 실증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수소차 수요가 줄면, 그린 수소의 경제성이 떨어지고 산업용 수소 공급망 구축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울진 수소실증 관계자는 “수소 수요처가 줄어들면 투자는 위축되고, 인프라는 방치될 수밖에 없다”며 “지역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경북과 대구는 정부 예산 감소에 대응해 지방비 보조 확대, 산업용 수소 수요처 확보, 기술 중심 투자 유치 등 대책을 검토 중이다.

전문가들은 “수소차는 장기적으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운송수단”이라며 “지금 같은 전환기에 정부가 명확한 정책 신호를 주지 않으면, 지방의 민간 투자 심리와 정책 추진 동력이 동시에 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