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멀티포트 전략에 ‘포항’ 포함”
전재수 해수부 장관, 공식 언급
시, 국제선 배후단지 선제 준비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코리아-멀티포트(복수항만) 전략’에 포항을 포함하겠다고 공식 언급하면서, 포항이 북극항로 경제권의 전초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전 장관은 지난 7월 인사청문회에서 “북극항로 항만 권역은 여수·광양에서 포항까지를 아우르는 구조가 돼야 한다”며 “포항은 발전 잠재성이 충분하다. 부산항에 집중하겠다는 뜻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취임 이후에도 그는 “동해안을 포함한 복수항만 전략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북극항로 대비 복합 항만권 구축 의지를 재확인했다.
북극항로는 러시아 북부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항로로, 기존 수에즈 운하 경로보다 항해 거리를 3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기후 변화로 얼음이 줄어 상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자 중국·일본·러시아 등이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 역시 동해안 거점 항만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포항시는 영일만항을 환동해 물류 거점으로 키우기 위해 컨테이너 부두 확충과 배후단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여객부두는 내부공사가 진행 중이며, 내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크루즈 정박 및 ‘플로팅 호텔’ 운영이 점검됐다.
또한 포항시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러시아 로사톰·뉴뉴쉬핑·무르만스크 관계자와 북극항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국제항로 개설을 위한 해외 선사와의 네트워크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은 철강 산업의 심장일 뿐 아니라, 동해와 맞닿은 지리적 이점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함께 갖춘 도시”라며 “영일만항을 중심으로 북극항로 경제권의 전초기지를 만드는 것이 포항의 미래 전략이자 국가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여객 인프라를 완비하고, 배후단지와 신산업 물류를 결합해 환동해 중심 항만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회에서는 ‘북극항로 거점항만 지정·육성 특별법’이 발의돼, 대통령 직속 북극항로위원회 설치와 거점항만 지정·지원 근거 마련이 추진되고 있다. 여야 의원들은 “부산·울산·포항을 포함한 동해안 권역을 연계해 국가 전략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포항이 북극항로 전초기지로 자리 잡으면, 기존 철강 중심의 산업 구조를 넘어 항만·물류·에너지·관광이 융합된 복합 경제권으로 확장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포항은 지정학적 입지와 산업 기반을 모두 갖춘 만큼 북극항로 시대의 실질적 거점이 될 수 있다”며 “국제여객터미널 2단계 조기 완공과 배후단지 고도화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