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개 시스템 공간적 여유 ‘충분’
준비·복구 예산 최대 80억 소요
윤호중 행안부 장관, 현장 방문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오후 국가보안시설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한 가운데 윤 장관이 탄 차량이 센터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영환 기자 yhk@kyongbuk.com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오후 국가보안시설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한 가운데 윤 장관이 탄 차량이 센터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영환 기자 yhk@kyongbuk.com

정부가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동구 도장길) 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96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 구축을 위해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을 대구센터로 이전하기 위한 과제는 무엇일까.

우선 화재 악영향으로 사용할 수 없는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옮기는데 공간확보는 어떻게 되며 예산은 얼마나 소요되느냐 하는 것이다.

지난해 6월 완공된 대구센터는 총사업비 4300억원을 들여 지상3층 규모(부지면적, 8만1367㎡, 연면적 3만5396㎡)로 행정동·전산동·방문자센터 등이 들어서 있다. 86개 기관의 서버 4500여대와 장비 7850여대를 운용하게 된다.

현재 대구센터는 총 175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가운데 128개 시스템은 달성군(재해복구센터)에 백업시켜 놓고 있다. 물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실시간 복구가 되도록 이중화 작업을 해 놓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이전을 추진중인 96개 시스템을 공간적 여유가 있는 대구센터로 이전이 가능하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면 이전하는데 얼마나 예산이 투입될까.

최소 70억 원에서 최대 80억 원까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근거는 이렇다. 달성군 재해복구센터 128개 시스템을 만드는데 70억 원이 소요됐다는 것. 따라서 대전의 96개 시스템을 이전하는데는 대구보다 예산이 다소 더 추가될으로 추정됐다. 대전의 시스템이 대구센터 보다 좀더 비중이 있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날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서비스가 중단된 96개 시스템을 재구축할 클라우드 시설을 점검했다.

윤 장관은 이자리에서 “국민의 불편을 이른 시일 내에 해소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이전작업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무환 기자
박무환 기자 pmang@kyongbuk.com

대구취재본부장. 대구시청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