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시장 직통 끊기고 배차 간격 길어 주민 불만 확산
연말 대책 약속은 사라지고 2026년만 바라보는 행정 불신

▲ 고령 임시버스가 차고지에 주차해 있다. 김영우 기자
▲ 고령 임시버스가 차고지에 주차해 있다. 김영우 기자

넉 달째 운행 중인 고령군 임시버스는 교통 공백을 메우겠다던 당초 명분과 달리 주민 불편만 고착시키고 있다. 군이 약속했던 “연말까지 근본 대책 마련”은 자취를 감췄고, 대신 돌아온 답변은 “2026년 정규 노선 개통 전까지 임시버스를 운행하겠다”는 계획뿐이다. 주민들은 “도대체 넉 달 동안 무엇을 했느냐”며 행정의 무책임을 따져 묻고 있다.

고령군은 농어촌버스 606번 노선 폐지로 발생한 교통 공백을 막기 위해 군은 지난 5월부터 임시버스를 투입했다. 그러나 기존 606번이 대구 서문시장까지 직통으로 연결됐던 것과 달리, 임시버스는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까지만 운행한다. 주민들이 “생활권과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현재 임시버스는 45인승 관광버스 1대와 36인승 2대 등 총 3대를 확보했지만 실제 운행은 2대뿐이며, 나머지 1대는 예비차량으로 남아 있다. 하루 12회 왕복하며 일평균 약 320명이 이용한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초기 과적 문제는 해소됐으나 배차 간격이 길어 출퇴근·통학 불편이 여전하고, 정류장 접근성이 떨어져 어르신 등 도보 이용자들의 불만도 끊이지 않는다.

대가야읍 주민 김모 씨는 “배차 간격이 길어 출근 때마다 불편이 반복된다. 넉 달 동안 달라진 게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주민은 “정류장까지 시간 맞춰 걸어가도 시간은 들쭉날쭉하다. 결국 일부는 불편을 감수하고 직행버스를 이용한다”며 “군이 말하는 대책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꼬집었다.

▲ 1일 오전 5시 50분께 고령 임시버스가 첫 운행을 가기전 시동을 걸고 대기하고 있다. 김영우 기자
▲ 1일 오전 5시 50분께 고령 임시버스가 첫 운행을 가기전 시동을 걸고 대기하고 있다. 김영우 기자

군은 당초 “올해 말까지 근본 대책을 마련하고, 임시버스는 한시적으로만 운행한다”고 밝혔지만 최근 입장을 바꿨다. 군 관계자는 “2026년 중 고령–대구 광역노선 정규 개통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그때까지 임시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한시 운영이 무기한 연장된 셈이다. 주민들은 “미래 계획만 반복할 뿐 당초 약속은 사라졌다”며 불신을 드러냈다.

임시버스 운영에는 월 4800만 원가량이 투입된다. 유료화로 일부 수입이 발생하더라도 군이 매달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3300만 원에 이른다. 재정 부담만 내세울 뿐, 주민 불편을 줄일 실질적 대안은 내놓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역 사회에서는 이번 사태를 “시간 끌기 행정”이라고 규정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임시버스는 땜질에 불과하다. 군은 2026년만 바라보고 있는데, 그 사이 최소 1년 반 동안 주민들은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는 비판과 함께, △출퇴근 시간 집중 배차 △생활권 연계 노선 조정 △서문시장 직통노선 검토 △정류장 위치 개선 및 환승 편의 강화 같은 보완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군이 장기적으로 검토 중인 ‘수요응답형 교통체계(대가야행복택시)’ 확대 역시 필요하지만, 이는 농촌 단위 이동에는 유용해도 광역 교통 공백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따라서 광역노선 개통 전까지는 임시버스 체계의 고도화와 주민 의견을 반영한 단기 대책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고령군이 공언했던 연말 대책은 사라지고 주민 불편만 남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멀리 있는 2026년 계획이 아니라, 군민이 당장 체감할 수 있는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다.

김영우 기자
김영우 기자 kyw@kyongbuk.com

고령군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